애드센스로 순수익 100억씩 버는회사들…아는만큼 보인다
“글 써서 돈 번다고?” 그게 다가 아니다
누가 그랬습니다.
“요즘 사람들, 글 좀 쓰면 돈이 된대.”
그 말에 고개를 갸웃하며 속으로 이렇게 말한 사람도 많을 것입니다.
‘그래봤자 얼마나 벌겠어.’
사실 저도 그랬습니다. 처음엔 그냥 블로그에 글 쓰고, 하루에 몇 백 원씩 들어오는 애드센스 수익을 보며, ‘이걸로 어떻게 먹고사냐’ 싶었습니다.
그런데 진짜 변곡점이 왔던 순간은, 제대로 배우기 위해 돈을 쓰기 시작했을 때였다.
온라인 강의, 코칭, 마케팅 공부, 콘텐츠 기획, AI 툴 활용… 하나하나 배우다 보니 머릿속에 지도가 그려지기 시작했다.
‘아, 이렇게 하면 수익이 연결되는구나.’
‘여기서 사람들이 머무는구나.’
‘이런 구조로 사이트를 만들면 꾸준히 들어오는구나.’
공짜로 얻은 정보도 물론 도움이 된다. 하지만 제대로 된 구조를 배우려면, 시간이든 돈이든 반드시 투자해야 한다.
수강생들이 억대 수익을 내는 진짜 이유
내 수강생 중에는 지금 억대 수익을 내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그들이 처음부터 특별했던 건 아니다. 오히려 대부분 평범한 직장인이었고, 경력도, 기술도 없었다.
그런데 그들에게 공통점이 있다. ‘배움을 기회로 삼은 사람들’이다. 질문을 멈추지 않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려 했고, 무엇보다 ‘투자’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이건 ‘배움’에 대한 이야기지, ‘성공’에 대한 자랑이 아니다. 왜냐면 대부분 사람들은 성공을 꿈꾸지만, 그 꿈을 위해 아무것도 배우지 않는다.
그러고는 말한다.
“나는 원래 안 되는 사람이야.”
“나는 특별한 재능이 없어.”
“나는 그런 쪽은 몰라서 못 해.”
그건 안 해본 거다. 배우지 않았고, 시도하지 않았고, 그래서 눈이 열리지 않은 것뿐이다.
돈이 생기는 게 아니라, 눈이 트이는 것이다 사람들은 돈을 벌고 싶어 하지만, 정작 중요한 건 ‘돈을 볼 수 있는 눈’이다. 기회는 늘 있다. 그걸 알아보는 사람이 많지 않을 뿐이다.
내가 처음 10만 원 벌 때, 누군가는 “그거 시간 대비 안 좋은 거 아냐?”라고 했고, 내가 100만 원 벌 때, “그 정도면 그냥 부업이지.”라고 했다. 하지만 지금은 사이트 하나에서 억대 매출이 나온다. 그 차이는 결국, 어디까지 배울 준비가 되어 있었는가다.
우리는 아직도 ‘블로그’만 보고 있다
애드센스라고 하면 대부분 사람들이 떠올리는 장면이 있다. 누군가 방에서 혼자 노트북으로 블로그를 쓰고, 거기에 광고 몇 개 붙여서 소소한 부수입을 버는 모습.
맞는 말이긴 하다. 하지만 그건 ‘가장 작은 형태’일 뿐이다.
애드센스는 광고 수익 시스템이지, ‘블로그 전용 수익 모델’이 아니다. 애드센스를 붙일 수 있는 구조는 무한하다.
그걸 조금만 더 키우면, ‘콘텐츠 사이트’가 되고, 더 키우면 ‘뉴스 미디어’가 되고, 그게 더 커지면 ‘기업’이 된다.
지금 내가 말하는 건 단순한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다.
실제로 그렇게 해서 수백억을 벌고 있는 회사들이 있다.
DC인사이드, 3년간 영업이익 300억

‘디씨인사이드.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커뮤니티다. 낡은 인터페이스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그냥 ‘옛날 사이트’로만 본다. 하지만 놀라지 마시라.
이 사이트는 최근 3년간 영업이익만 300억 원이다.
어떻게? 트래픽이다. 그리고 그 트래픽은 대부분 광고 수익으로 연결된다. 즉, 애드센스 기반 수익 구조의 집합체다. 여기에는 콘텐츠 제작자도 따로 없고, 유저가 만드는 글이 곧 돈이 되는 구조다. 정확히 말하면, 사람이 많이 머무는 곳에 광고만 잘 붙이면 기업이 되는 시대다.
캐시워크, 매출 800억에 순이익 100억

‘걸으면 돈 준다’는 아이디어 하나로 시작된 캐시워크. 겉보기엔 단순 리워드 앱처럼 보이지만, 핵심 수익 구조는 광고다. 정확히는 ‘애드센스형 광고 네트워크’ 기반이다.
이 앱 하나로 매출 800억, 순이익 100억. 미친 수치다.. 걷게 만들고, 트래픽을 유도하고, 거기에 광고를 붙인 결과다. 사람들이 모이면, 돈도 모인다는 사실을 증명한 케이스.
뉴스픽, 위키트리, 인사이트… 다들 100억대 영업이익
뉴스 기반 애드센스 수익도 예외가 아니다.
뉴스픽 – 영업이익 100억.
위키트리 – 영업이익 100억.
인사이트 – 거의 100억에 가까운 수익을 올리고 있다.
이들 모두가 대단한 기술력을 가진 회사일까?
그렇지 않다. 핵심은 단 하나, 사람들의 ‘관심’을 컨트롤하고 있다는 것. 트렌드성 기사, 자극적인 콘텐츠, 빠른 업데이트… 그 안에 수많은 광고가 자연스럽게 붙는다.
이건 단순히 “클릭을 유도한다”는 얘기가 아니다. 사람이 머무는 시간을 팔고 있는 것이다. 이 구조를 설계한 자들이 지금 대한민국에서 가장 조용히, 가장 많이 벌고 있다.
한 달에 몇 만 원, 많아야 백만 원 정도 버는 사람들에게는 이 세계가 너무 멀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나는 이렇게 말하고 싶다.
시작은 블로그여도, 생각을 키우면 회사가 된다. 우리는 그저 ‘글 하나 쓰고 광고 붙이는 수준’에서 멈춰 있지만, 지금도 똑같은 구조를 키운 사람들은 연 매출 수백억짜리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말 그대로, 광고 한 줄이 회사를 만든다.
블로그? 그건 수많은 형식 중 하나일 뿐
사람들은 ‘글을 써야 한다’는 생각에 갇힌다. 하지만 지금의 시대는 완전히 달라졌다. 요즘은 GPT 같은 AI 도구로 테스트 사이트를 만들고, 설문 결과를 자동으로 분석해 보여주는 페이지도 쉽게 만들 수 있다.
정보 정리? 그것도 AI의 손을 빌리면 금방이다.
시급 계산기, 최저임금 계산기 ,mbti 사이트, 기능형 사이트, 커뮤니티 등 형태만 다를 뿐, 이 모든 것이 결국 같은 구조이다. 정보를 소비자에게 보여주고, 그 안에서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도 이미 그 ‘첫걸음’에 있다. 중요한 건 ‘내가 글을 잘 쓰느냐’보다 ‘어떻게 콘텐츠를 기획하고 배치하느냐’이다.
콘텐츠 생산자와 소비자, 단 하나의 선택
나는 예전에 소비자였다. 정보를 검색하고, 다른 사람이 만든 블로그에서 글을 읽으며, 광고를 클릭하던 입장이었다. 하지만 어느 날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왜 나는 항상 읽기만 하지? 왜 내가 만들 생각은 안 했지?’
그 순간부터 게임이 달라졌다. 이제는 트렌드를 보면 ‘이걸 콘텐츠로 만들 수 있을까?’를 먼저 생각한다. 이슈가 터지면 ‘저 사람은 이걸로 광고 수익을 어떻게 연결할까?’를 분석한다.
내가 콘텐츠를 소비하는 위치에만 머물면, 아무 일도 바뀌지 않아.
하지만 생산자로 옮겨서는 순간, 세상은 완전히 다른 궤도로 돈이다.
중요한 건 ‘돈’이 아니라 ‘눈’이다
이런 이야기를 하면 어떤 사람은 반문한다.
“그런 거 잘하는 사람이나 가능한 거 아니에요?”
그럴 수 있다. 하지만 요즘은 도구가 인간의 한계를 보완해준다. AI는 복잡한 코드도 필요 없고, 디자인 감각도 필요 없다.
중요한 건 도구가 아니라 관점이다. ‘이건 나랑 상관없는 일’이라고 선을 그어버리는 순간, 가능성도 같이 닫힌다. 그 반대도 마찬가진다. ‘이게 나도 가능한 일’이라고 믿는 사람에겐, 길이 열리기 시작한다.
세상은 넓고, 방법은 많다 나는 3년 전만 해도 그저 블로그에 글 몇 개 올리며 시간이나 때우던 사람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하나의 사이트에서만 월 100만 원 넘는 수익이 나온다. 대단한 건 아니다. 매일 조금씩 쌓았고, 꾸준히 방향을 조정했을 뿐이다.
이건 부업이 아니라, 트래픽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하나의 온라인 비즈니스이다. 이걸 이해하는 순간, 단순한 블로그는 더 이상 ‘취미’가 아니게 된다. 이 시장은 아직도 열린 상태다. 당신이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읽고, 커뮤니티를 보고, 앱을 쓸 때마다 누군가는 광고 한 줄로 돈을 벌고 있다.
그리고 그 구조는, 이 글을 보고 있는 당신도 충분히 따라 할 수 있다.
다만 조건이 하나 있다. 지금의 관점을 버릴 것. 애드센스를 ‘부업’으로만 보지 말고, ‘사업의 구조’로 다시 볼 것. 그 눈이 열리는 순간, 돈이 되는 세상이 보이기 시작한다.아는 만큼 보이다. 보는 만큼 벌 수 있다. 세상을 보는 눈이 바뀌면, 돈을 버는 방법도 완전히 달라진다. 그 문은 아직도 열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