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유튜브에서 애드센스 저격 영상이 잘 먹히고 있다.
한 여성 크리에이터가 애드센스가 돈이 안 된다고 비판하는 영상을 올렸고, 조회수가 잘 나오자 같은 주제로 광고까지 돌리기 시작했다.
그런데 여기서 재미있는 아이러니가 있다.
애드센스는 돈이 안 된다고 주장하면서, 정작 본인은 유튜브 광고를 돌려 자신의 강의를 홍보하고 있다.
즉, 애드센스는 돈 안 된다고 하면서, 애드센스 비판 콘텐츠로 돈을 벌고 있는 셈이다.
그리고 한 가지 확신할 수 있다.
이 사람보다 훨씬 많은 고객을 확보했고, 더 많이 판매해봤을 거라는 것.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점이 있다.
나는 애드센스로 기반을 다졌기 때문에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즉, 애드센스보다 DB 마케팅이 더 어렵다.
애드센스도 못하는 사람이 DB 마케팅을 한다고? 훨씬 힘들다.
이런 상황을 보면서 우리는 한 가지 중요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애드센스가 정말 돈이 안 되는 걸까?”
“아니면, 애드센스 저격이 돈이 되는 콘텐츠일 뿐일까?”
최근 영상 역시 같은 맥락에서 “에드센스로 돈 버는 건 비효율적이니, 워드프레스를 활용해 직접 플랫폼을 구축하고 디지털 노마드가 되라”는 주장을 펼친다.
하지만 이 주장은 겉으로는 그럴듯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비현실적이고 많은 허점이 있다.
“에드센스는 돈 안 된다?” – 상위 1%만 성공하는 건 모든 시장이 똑같다
영상에서는 “에드센스로 돈 벌 수 없다”**는 논리를 반복한다. 그런데 애드센스로 월 1,000만 원 이상 버는 사람들은 지금도 존재한다. 단, 그런 사람들은 애드센스를 제대로 연구하고, 꾸준히 지속했으며, 트래픽을 확보할 전략을 알았던 사람들이다.
이건 워드프레스든, 스마트스토어든, 유튜브든, 인스타그램이든 똑같다.
-스마트스토어도 상위 1%만 제대로 번다.
-유튜브도 상위 1%만 제대로 번다.
-심지어 영상에서 말하는 “워드프레스 플랫폼 구축” 역시 상위 1%만 성공한다.
결국, 어떤 방법이든 상위 1%가 돈을 벌고, 나머지는 힘들다.
애드센스만 “돈 안 된다”는 건 잘못된 논리다.
“애드센스로 돈 못 번다”면서 DB 판매가 가능하다고?
이 영상에서 말하는 논리는 단순하다.
1.애드센스로 돈 버는 건 힘들다.
2.워드프레스로 내 플랫폼을 만들고, DB(고객 데이터베이스)를 수집하라.
3.그러면 자동 수익이 생긴다.
이렇게 들으면 뭔가 있어 보인다.
그런데 정말 이게 현실적인 방법일까?
애드센스로도 돈 못 버는 사람이, DB로 뭘 판다고?
영상에서는 “애드센스는 돈이 안 된다”며 디지털 노마드의 허상을 깨부순다는 식으로 말한다.
하지만 냉정하게 생각해보자.
애드센스로 돈을 못 벌면, DB를 모아도 돈을 벌 수 없다.
왜?
애드센스로 돈을 벌려면 꾸준한 방문자(트래픽)가 필요하다.
DB 마케팅도 결국 꾸준한 방문자(트래픽)가 필요하다.
즉, 트래픽을 모으지 못하면 애드센스도 안 되고, DB 마케팅도 안 된다.
결국 같은 문제인데, 애드센스는 ‘노가다’라고 깎아내리고, DB 마케팅은 마치 신세계인 것처럼 포장한다.
이건 그럴듯한 말장난일 뿐이다.
애드센스보다 DB 마케팅이 훨씬 어렵다
영상의 핵심 논리는 이거다.
“내 플랫폼을 만들고, 디비를 수집해서, 지속적으로 판매하면 돈을 번다.”
이게 맞는 이야기일까?
원론적으로는 맞지만, 현실은 다르다.
애드센스는 최소한 글만 잘 써도 수익이 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DB 마케팅은?
-트래픽을 모아야 한다.
-트래픽에서 DB를 수집해야 한다.
고객이 모인다고 다 사나?
→ 대부분의 사람들이 “무료 정보”만 소비하고 떠난다.
→ 실제로 결제하는 사람은 1%도 안 된다.
디비가 모이면 사업이 쉬워지나?
→ 디비가 많아도, 마케팅과 세일즈를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 사업 경험 없으면 관리도 어렵다.
단순히 방문자만 필요한 애드센스보다, DB 마케팅은 3단계를 더 거쳐야 하기 때문에 훨씬 어려운 방법이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무료 콘텐츠만 보고 떠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DB를 수집했다고 해서, 그 사람들이 다 구매할 거라는 보장은 전혀 없다.
영상 속 인물은 DB 마케팅으로 돈을 벌어봤나?
이 영상에서 말하는 “디비를 모아라”라는 논리는 결국 뉴스레터 강의를 팔기 위한 사전 포석이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질문이 있다.
“이 영상 찍은 사람, 뉴스레터로 진짜 돈 벌어봤나?”
정작 본인은 유튜브와 유료 광고로 DB를 모으면서,”워드프레스로 DB를 모으면 자동 수익이다”라고 주장한다.
이거 완전히 앞뒤가 안 맞는 이야기다.
진짜 워드프레스 DB 마케팅이 효과적이라면, 왜 본인은 유튜브, 블로그, 유료 광고로 트래픽을 모으나?
워드프레스가 그렇게 잘 되면, 왜 600만 원짜리 강의를 팔고 있나?
본인이 뉴스레터로 돈을 벌어본 적이 있나?
결국 본인의 핵심 수익원은 ‘DB 마케팅을 가르치는 강의 판매’일 뿐, 정작 DB 마케팅을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팔아서 돈을 번 사례는 거의 없다.
이런 방식은 흔히 볼 수 있는 패턴이다.
✅ 유튜브에서 “이 방법이 최고다!”라고 주장
✅ 정작 본인은 그 방법으로 돈을 벌지 않음
✅ 대신 그 방법을 가르치는 강의 판매로 수익을 냄
이런 구조는 말 그대로 “돈 버는 법을 가르쳐서 돈을 버는 모델”이다. 그 자체로는 완벽한 사기라고 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본인이 주장하는 방법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매우 의심스럽다.
영상에서 말하는 “노동 수익 vs 자동 수익”이라는 개념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 온라인에서 수익을 내려면 어떤 방법이든 시간과 노력이 들어간다. 애드센스도 노력이 필요하고, 워드프레스 플랫폼도 노력이 필요하다.
다만, 애드센스는 글을 쌓아두면 시간이 지나도 꾸준히 수익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영상에서 말하는 디비 수집 방식은 지속적인 관리와 마케팅을 요구한다.
건전한 비판: 핵심은 ‘자동 수익’이 아니라, ‘꾸준함’이다
애드센스든 뭐든 돈버는건 어렵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워드프레스나 DB 마케팅이 정답인 것도 아니다.
오히려 중요한 건”어떤 시스템이든 꾸준히 할 수 있느냐”이다.
- 애드센스로 돈을 벌려면? → 꾸준히 글을 써야 한다.
- 유튜브로 돈을 벌려면? → 꾸준히 영상을 올려야 한다.
- DB 마케팅으로 돈을 벌려면? → 꾸준히 고객을 관리해야 한다.
🚨 애드센스를 비판하는 영상이 아니라, 애드센스를 비판하면서 돈을 버는 구조를 의심해야 한다.
🚨 애드센스가 어렵다고 해서, 대안이라고 제시하는 방법이 쉬운 것은 아니다.
🚨 진짜 중요한 것은 ‘꾸준함’이고, 어떤 방법이든 지속 가능해야 한다.
애드센스가 어렵다는 말에 휩쓸려 “이 방법이 정답이다”라는 유혹에 넘어가지 말자.
진짜 성공은, 어떤 방식이든 꾸준히 실행하는 사람들의 몫이니까.
진짜 디지털 노마드를 꿈꾼다면?
👉 어떤 시스템이든 지속 가능하게 만들고, 꾸준히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핵심이다.
👉 유행하는 강의가 아니라, 내가 꾸준히 할 수 있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길이다.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