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블로그에서 버튼을 표시하고 싶은 경우 블록 에디터(구텐베르크)의 버튼 블록을 활용하면 다양한 스타일의 버튼을 쉽고 편리하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그라디언트 배경이 적용된 버튼을 만들고 패턴(재활용 가능 블록)으로 만들어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 버튼에 배경색 그라디언트 적용하기
워드프레스 블록 에디터에서 블록을 삽입하려는 경우 /버튼과 같이 “슬래시+블록 이름”을 입력하여 쉽게 블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블록 에디터에서 지원하는 키보드 단축키를 활용하면 마우스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빠르게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또한, 손목터널증후군과 같은 직업병(?) 증상을 완화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버튼 블록 설정에서 스타일 탭(①) » 배경 (②) » 그래디언트 (③)를 클릭한 다음, 기본에서 사전 정의된 배경색 그라디언트의 버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의 그림에서 첫 번째 사전 정의된 스타일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버튼이 생성됩니다.
버튼을 생성하였다면 추후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패턴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패턴 생성 화면에서 “동기화됨”은 체크하지 않도록 합니다.

자세한 방법을 다음 유튜브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마우스를 버튼에 올렸을 때 색상이 검정색 등으로 표시되어 버튼 배경색과 어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hover 시 색상 변경은 기본적인 CSS를 알면 쉽게 가능합니다.
한 두 번 만들어보면 쉽게 원하는 스타일의 버튼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보다 정교한 버튼을 만들고 싶은 경우 다음 글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참조된 글에 허버(hover) 색상 설정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였습니다. 조금 부연하자면, 버튼 블록의 고급에서 CSS 클래스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CSS 클래스를 지정하고(예를 들어, b-hover), 다음과 같은 CSS 코드를 모양 (외모) » 사용자 정의 » 추가 CSS에 추가하면 마오스 오버 시 컬러를 제어할 수 있을 것입니다.
.b-hover a:hover {
color: white; /* 적당한 색상으로 변경 */
}
티스토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버튼을 HTML/CSS로 만든 다음, 서식으로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에 비해 복잡하고 서식을 불러와서 활용하는 것도 조금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의 경우 다음 글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수익을 높이고 싶은 경우 버튼을 사용하여 사용자들의 액션을 유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재 창에서 링크를 열면 전면 광고가 표시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다만, 이 경우 이탈률이 증가하여 SEO 측면에서는 불리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내부 링크는 현재 창/탭에서 열리도록 하고 외부 링크는 새 창/탭에서 열리도록 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