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웨이즈 (Cloudways): 백업 전략 및 전체 사이트 백업 다운로드

클라우드웨이즈(Cloudways)는 서버 백업 설정에 따라 백업본을 유지하며, 애플리케이션별로 최대 4주 동안 복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체 애플리케이션의 로컬 백업본을 생성하여 PC로 다운로드할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사이트라면 정기적으로 On-Demand Backup을 실행하고, 백업본을 PC에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1년 이상 서버 문제를 겪지 않았지만, 드물게 서버 자체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백업본이 있으면 사이트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규모가 큰 사이트나 방문자 수가 많은 사이트를 운영하는 경우 클라우드웨이즈가 괜찮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방문자 수가 많지 않거나 블로그를 시작하는 단계인 경우에는 가성비 좋은 패스트코멧이나 케미클라우드와 같은 호스팅이 경제적인 옵션일 수 있습니다. 특히 케미클라우드는 지난 7월 말 서울 서버를 도입하여 우리나라에서 속도가 빠릅니다.

백업의 중요성

워드프레스뿐만 아니라 그누보드, XE 등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경우 백업이 매우 중요합니다. 카페24나 클라우드웨이즈 등 일부 호스팅에서는 자동 백업/복원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경우에도 백업은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카페24에서는 지난 7일 이내의 기간에서 쉽게 자동으로 복원할 수 있지만, 종종 7일보다 훨씬 더 이전에 사이트가 멀웨어에 감염되어 낭패를 보는 사용자들도 드물지만 계십니다.

사이트가 한 두 개라면 워드프레스 백업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백업하여 PC에 보관하면 편리합니다. 워드프레스에는 다양한 백업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UpdraftPlus나 All-in-One WP Migration과 같이 잘 알려진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백업하면 좋습니다.

서버 내의 사이트가 너무 많아서 백업을 개별적으로 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전체 사이트 백업본을 받아서 PC에 보관하고 중요한 사이트는 개별적으로 정기적으로 백업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저는 10년 이상 워드프레스를 운영하면서 백업본이 없어 곤란한 상황에 처한 많은 분들을 만났습니다. 최악의 경우에는 사이트를 복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미리 백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는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클라우드웨이즈: 전체 사이트 백업 다운로드하기

클라우드웨이즈 자동 백업 설정

클라우드웨이즈를 이용하는 경우 서버 관리 페이지의 Backups에서 자동 백업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1시간 ~ 7일 간격으로 최대 4주까지 백업본을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저는 2일 간격으로 2주 동안 백업본을 유지하도록 설정했다가 현재는 1일 간격으로 2주 동안 백업을 하고 있습니다. 백업 간격을 짧게 하고 백업 기간을 길게 할 경우 오프사이트 백업 사이즈가 증가하여 추가 비용이 청구됩니다. 저는 살펴보니 지난달 오프사이트 백업에 대하여 2.5달러가 청구되었네요. (최소 오프사이트 백업 비용은 0.5달러입니다.)

경험상 백업 주기는 1일 간격이 바람직한 것 같습니다. 기간은 1주일이나 2주일 정도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오프사이트 백업 비용이 조금 높아도 상관 없다면 1일 간격으로 4주 기간으로 백업해도 좋습니다.

로컬 백업 설정

이와는 별도로 다운로드 가능한 백업본을 생성하고 싶은 경우 Local Backups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Local Backups(로컬 백업) 옵션을 활성화하면 서버의 local_backups 폴더에 백업 복사본이 추가로 저장되어 SSH 또는 SFTP를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단, 로컬에는 가장 최근의 백업 하나만 저장되며, 외부 백업(오프사이트 백업)은 설정된 주기대로 계속 작동합니다.

당장 백업을 받고 싶은 경우 On-Demand Backup(온디맨드 백업, 주문형 백업)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로컬 백업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온디맨드 백업을 실행하면 서버에 존재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워드프레스 사이트)에 대한 다운로드 가능한 복사본이 추가로 생성됩니다.

Take Backup Now 버튼을 클릭하면 백업본 생성이 시작됩니다.

전체 백업본을 생성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로컬 백업본은 서버 공간을 차지합니다. 로컬 백업본을 생성하기 전과 생성한 후의 서버 디스크 용량을 체크해보면 전체 백업본의 크기를 대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온디맨드 백업본을 생성한 후에 20GB 정도 디스크 용량이 증가했습니다.

로컬 백업은 각 애플리케이션 폴더 아래에 생성됩니다. SFTP에 접속하여 각 애플리케이션별로 백업 파일을 PC로 다운로드하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이름이 abcdefg라면 /applications/abcdefg/local_backups 디렉터리에 백업 파일이 위치하게 됩니다.

모든 백업 파일을 다운로드하였다면 삭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모든 로컬 백업 파일을 삭제하려면 Local Backups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휴지통 아이콘을 클릭하면 모든 백업 파일이 제거됩니다.

서버 디스크 공간이 충분한 경우 로컬 백업을 활성화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겠지만,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면 로컬 백업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로컬 백업 기능을 활성화하면 서버 공간을 차지하므로 보통의 상황에서는 비활성화하세요.)

각 백업 파일에는 public_html 폴더와 private_html 폴더의 모든 파일(데이터)와 DB 파일(sql 파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는 안정적이고 자동 백업본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안심할 수 있지만, 어떤 서버든 100% 완벽하게 안전한 서버는 없으므로 로컬 백업본을 정기적으로 다운로드하면 조금 더 안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백업 플러그인을 사용한 백업

서버에 추가된 사이트 개수가 몇 개 되지 않으면 워드프레스 백업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백업하고 PC로 다운로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저는 UpdraftPlus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백업을 하고 있습니다.

Cloudways에서 자동 백업/복원 기능을 제공하지만 이중으로 백업하면 안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PHP 버전 변경 시 백업

클라우드웨이즈나 패스트코멧, 케미클라우드 등의 호스팅에서는 PHP 버전을 변경할 때에 별도의 백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웹호스팅 컨트롤 패널이나 cPanel에서 PHP 버전을 선택하면 됩니다.

하지만 카페24나 국내 호스팅을 이용하는 경우 PHP 5나 PHP 7에서 PHP 8로 변경할 때에는 데이터와 DB를 백업해야 할 수 있습니다.

카페24에서 PHP 버전을 변경하거나 10G 광아우토반 상품에서 매니지드 워드프레스 호스팅 상품으로 변경 시 다음과 같은 경고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위의 경고가 표시되면 반드시 DATA와 DB를 백업하여 PC로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가능한 경우 백업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이중으로 백업하면 조금 더 안심할 수 있습니다.

경고를 무시하고 백업을 하지 않거나, 카페24 홈페이지에서 백업 요청을 했지만 컴퓨터로 다운로드하지 않고 변경을 진행할 경우 재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의외로 이 경고를 무시하고 백업을 받지 않고 진행했다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드시 데이터와 DB를 모두 백업하여 컴퓨터로 다운로드한 후에 변경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마치며

백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것 같습니다. AWS, Vultr 등에서 서버를 직접 운영하다 갑자기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여 복구를 위해 많은 비용을 들이거나 복구를 하지 못해 사이트를 포기하는 안타까운 사례를 드물지만 간혹 접합니다. 카페24에서 PHP 버전을 변경하면서 제대로 백업을 하지 않아서 복구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티스토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백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티스토리 계정이 영구 정지되어 백업을 받지 못하는 사례도 접한 적이 있습니다.

사이트를 운영하는 경우 정기적으로 백업을 하여 PC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보관하면 조금 안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워드크래커는 워드프레스 정보꾸러미 블로그와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는 사람들(네이버 카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