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경기 침체로 인해 수익형 블로그와 구글 애드센스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티스토리에서 시작해 워드프레스로 넘어가는 것이 정석이었지만, 강의를 진행하다 보니 50대 이상의 수강생들이 예상보다 많았고, 이들에게 워드프레스는 상당히 어려운 플랫폼이었습니다.
또한, 수익형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들에게도 5만원 이상의 호스팅 비용과 서버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최근에는 무료로 운영할 수 있는 구글 블로그(블로그스팟, Blogger)가 대안으로 많이 선택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블로그스팟을 활용하는 방법과 함께, 기존에 많이 사용되는 워드프레스와 티스토리를 비교 분석하여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정리해봅니다.
해당 책은 곧 유료로 전환될 예정이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작가 소개]
–은퇴 후 농사를 짓고 살고 싶은 안산농사꾼
-현재 콘텐츠 회사 대표(직원 15명+프리랜서 10명)
-4년 동안 애드센스+광고 총 38억(순수익 20억)
-2022~2025년 애드센스+타뷸라 35억(순수익 20억)
-2022년 사이트 트래픽 아시아 TOP 5
-애드센스 시작 3년만에 구글코리아 초청,타뷸라 본사 초청
-2024년 파트너 5분과 함께 구글코리아 초청
-2025년 파트너 4분과 함께 타불라 초청
–유튜브 알파남 채널 운영
애드센스팜에 있는 무료자료는 시중에서 300만원 이상에도 판매되는 가치 있는 내용들로 채워져있습니다. 혹시라도 PDF로 소장, 추가 후기자료를 보고 싶으면 아래게시판에 후기작성 부탁드립니다.
📌 이 글을 읽으면 알 수 있는 것
- 블로그스팟(Blogger)의 특징과 시작 방법
- 워드프레스 vs 티스토리의 차이점
- 각 플랫폼의 장점과 단점
- 수익화 및 SEO 최적화 가능성 비교
블로그스팟 시작하기, 워드프레스 vs 티스토리 비교(장점 단점)
1. 블로그스팟(Blogger)이란? – 무료 블로그 서비스
블로그스팟(Blogger)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무료 블로그 플랫폼으로, 별도의 호스팅 없이 무료로 블로그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 블로그스팟의 장점
- 완전 무료: 호스팅 비용 없이 구글 계정만 있으면 사용 가능
- 구글 애드센스 연동 용이: 수익화 시작이 쉬움
- 구글 SEO 최적화: 구글 검색엔진 친화적
- 간단한 사용법: 초보자도 쉽게 블로그 개설 가능
- 하루 게시글 100개까지 가능-> 티스토리의 경우 하루에 15개까지만 포스팅 가능한 데 반해 구글 블로거는 100개까지 가능합니다.
❌ 블로그스팟의 단점
- 제한된 커스터마이징: 디자인과 기능이 제한적
- 전문적인 블로그 운영 어려움: 워드프레스보다 기능이 적음
- 한국 사용자 적음: 국내에서는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가 더 인기라 정보를 얻기 어려움
- 정지 위험이 있음: 결국 내땅이 아니라 구글 규정에 따라 하루아침에 정지될수가 있음.
- 초반 노출이 어려움: 다음, 네이버에 비해 구글 샌드박스 기간처럼 3~6개월 아예 노출이 안됨
블로그스팟 추천 대상
- 무료로 간단한 블로그를 운영하고 싶은 사용자
- 기술적인 설정 없이 바로 블로그를 시작하려는 초보자
- 세팅은 최소화하면서 글쓰기에 집중하고 싶은 사용자
2. 네이버 vs 티스토리 vs 블로그스팟 vs 워드프레스 – 어떤 블로그가 더 좋을까?
블로그에는 대표적으로 수익화를 할 수 있는 블로그로 네이버블로그, 티스토리블로그 , 워드프레스 이렇게 3가지의 블로그 종류가 있습니다. 그 중 티스토리, 워드프레스를 추천하는 이유는 같은 조회수 대비 네이버에 비해 수익이 30배 이상까지도 날수 있기 때문입니다. 각각의 플랫폼의 장단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
네이버의 경우 5만 5천 노출에 9,069원 구글의 경우 5만 5천 노출에 26만원, 다른 광고 플랫폼까지 합치면 30만원. 대략 30배의 수익차이를 보입니다.
1) 네이버

대한민국에서 점유율 1위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의 플랫폼이기 때문에 높은 노출과 트래픽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만약 블로그 목적이 나의 일상을 기록 하는 용도이거나, 사업을 목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려는 목적이라면 고민할 필요도 없이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시면 됩니다.
장점
-다양한 네이버 서비스와의 통합이 강력하며, 학원, 변호사, 의사등 개인의 사업을 하는 경우 개인 사업 홍보에 좋습니다.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편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국내에서 운영하는 매체입니다.
단점
-광고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네이버 애드포스트를 사용해야 하며, 일정한 규정과 제약이 따르고 광고수익이 구글에 비해 매우 낮습니다.그래서 원고료 또는 체험단으로 돈을 벌어야 합니다.
-외부 도메인 연결이 제한적이므로 독자적인 도메인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2)티스토리

티스토리는 Tattertools (태터 툴즈) + history의 합성어로, 2006년 5월에 개설된 서비스형 블로그 플랫폼으로 원래 태터툴즈 개발사인 태터앤컴퍼니와 다음이 공동 운영하다 2007년 7월에 다음에 이전되었고, 현재는 다음 카카오가 운영 중인 블로그 서비스입니다.
장점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손쉽게 블로그를 운영하고 글을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구글 검색 엔진 최적화(SEO)에 유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점
-내 땅이 아니다. 다음,카카오의 갑질에 휘둘릴수 있다(화재사건, 티스토리 강제 광고 삽입사건, 강제 블로그 제한)
-디자인적인 자유도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며, 웹사이트의 커스터마이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광고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광고 파트너사에 가입해야 하며, 수익 창출에는 일정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3) 워드프레스(WordPress) – 글로벌 1위 블로그 플랫폼
워드프레스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블로그 및 웹사이트 구축 플랫폼으로, 확장성과 커스터마이징이 우수합니다.
워드프레스 장점
- 완전한 자유도: 매우 많은 테마와 플러그인 사용 가능. (테마는 디자인적인 요소를, 플러그인은 주로 기능적인 요소 담당)
- SEO 최적화 가능: 검색엔진 노출 극대화 가능
- 다양한 수익화 방법: 애드센스, 제휴 마케팅, 쇼핑몰 연동 가능
- 강력한 커뮤니티 지원: 전 세계 개발자와 블로거들의 지원
워드프레스 단점
- 호스팅 비용 발생: 자체 도메인 및 호스팅 필요
- 초보자에게 다소 어려움: 기술적 지식 필요
- 보안 관리 필요: 자체 사이트 운영이므로 보안 신경 써야 함
- 속도 최적화 필요: 좋은 호스팅을 이용하고 가벼운 테마를 사용하고 플러그인을 최소화하면 속도가 빠르지만 무거운 테마나 플러그인을 설치하거나 기능 확장을 위해 많은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속도가 느려질 우려가 있음.
3. 네이버 블로그 vs 워드프레스 vs 티스토리 vs 블로그스팟 – 최종 비교표
플랫폼 | 비용 | SEO 최적화 | 수익화(애드센스) | 사용 편의성 | 커스터마이징 | 난이도 | 추천 대상 |
네이버 블로그 | 무료 | 네이버 내에서만 강함 | 애드포스트 (낮은 수익성) | 매우 쉬움 | 제한적 (네이버 정책 내에서만) | 완전 초보자 | 취미, 기록용 블로그, 네이버 검색 최적화 |
티스토리 | 무료 (애드센스 수익 발생 시 수수료 차감) | 구글/네이버 검색 반영 | 애드센스 가능 (플랫폼 수수료 존재) | 쉬움 | 제한적 (스킨 커스터마이징 가능) | 초보 | 국내 트래픽 확보 + 애드센스 수익화 초심자 |
블로그스팟 (Blogger) | 무료 (도메인 연결 시 연 2~3만 원) | 구글 검색에 최적화 | 애드센스 쉽게 연동 가능 | 다소 어려움 | 제한적 (HTML 수정 시 확장 가능) | 초보~중급 | 초보~중급 구글 기반 무료 블로그 운영 |
워드프레스 | 월 1~2만 원 / 연간 최소 15만 원 이상 | 구글 SEO에 매우 강함 | 애드센스, 제휴마케팅, 자체 상품 판매 등 자유 | 어려움 (초기 세팅 필요) | 최고 수준 (풀 커스터마이징) | 중수~고수 | 전문적인 블로그, 고수익형 사이트 운영자 |
4. 어떤 블로그를 선택해야 할까?
무료로 가볍게 시작하고 싶다면? → 블로그스팟
→ 비용 없이 간단한 블로그 운영을 원하는 경우 추천
장기적인 수익형 블로그 운영을 원한다면? → 워드프레스
→ SEO 최적화, 수익 극대화를 목표로 하는 경우 추천
🔹국내 검색 최적화 + 애드센스 수익화가 중요하다면? → 티스토리
→ 국내 트래픽 확보 및 애드센스 수익화를 목표로 하는 경우 추천
📌 자주 묻는 질문(FAQ)
1) 블로그스팟은 정말 무료인가요?
네, 블로그스팟(Blogger)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완전 무료 블로그 플랫폼입니다. 도메인과 호스팅 비용 없이 운영할 수 있으며, 애드센스를 통한 수익화도 가능합니다.
1-1) 블로그스팟은 초보자가 운영하기 쉬운가요?
블로그스팟은 기본적인 사용법은 쉽지만, SEO 최적화나 수익화를 고려하면 초보자가 운영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특히, 국내 트래픽을 목표로 할 경우 네이버 검색에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초보자에게는 티스토리가 더 적합한 선택지입니다.
2) 블로그스팟에서도 애드센스를 승인받을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블로그스팟은 구글이 운영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애드센스 연동이 매우 쉽습니다. 다만, 승인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최소 10~15개 이상의 글(1,000자 이상) 작성, 이미지 활용, 저작권 준수가 필요합니다.
3) 블로그스팟의 가장 큰 단점은 무엇인가요?
- 국내 인지도 부족: 국내에서는 블로그스팟을 사용하는 사람이 거의 없어, 정보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 네이버 검색 반영 어려움: 블로그스팟은 네이버 검색 반영이 원활하지 않아서, 국내 트래픽 확보가 어렵습니다.
- 커스터마이징 제한: 워드프레스나 티스토리에 비해 디자인과 기능이 단순하여, 원하는 대로 꾸미기가 어렵습니다.
- 플랫폼 업데이트가 거의 없음: 구글에서 큰 변화를 주지 않아, 인터페이스와 기능이 오래된 느낌을 줍니다.
- 기능 확장 어려움: 워드프레스처럼 플러그인을 추가할 수 없고, SEO 최적화를 위한 기능이 제한적입니다.
4)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 중 어떤 것이 더 좋을까요?
- 국내 트래픽 확보와 다음 검색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 티스토리
- 티스토리에게 수익을 뺏기고 싶지 않다면 → 블로그스팟
둘 다 무료이므로 직접 사용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5) 티스토리의 가장 큰 단점은 무엇인가요?
- 카카오의 플랫폼 정책 변경 가능성: 티스토리는 운영 정책이 자주 변경되며, 블로거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수익 배분 문제: 애드핏을 사용하면 광고 수익의 일정 비율을 티스토리가 가져갑니다.
- 갑작스러운 계정 정지 가능성: 티스토리의 운영 방침에 따라 특정 블로그가 사전 통보 없이 정지될 수도 있습니다.
6) 워드프레스는 초보자가 사용하기 어렵나요?
네, 워드프레스는 초기 설정이 어렵고, 호스팅과 도메인을 직접 구매해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HTML, CSS, 플러그인 사용법을 익혀야 하기 때문에 완전 초보자보다는 중수 이상에게 추천됩니다(“워드프레스 블로그 세팅 초보자 가이드” 참고).
7) 워드프레스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인가요?
- 완전한 자유도: 원하는 디자인과 기능을 직접 추가 가능
- SEO 최적화 가능: 검색엔진 노출 극대화 가능
- 다양한 수익화 방법: 애드센스, 제휴 마케팅, 쇼핑몰 연동 가능
8) 블로그스팟은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나요?
네, 블로그스팟은 구글이 서버를 관리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지보수가 필요 없습니다. 워드프레스처럼 호스팅 문제나 보안 관리를 직접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9) 블로그스팟은 언제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 워드프레스의 유지보수 부담(호스팅, 보안 관리 등)을 피하고 싶은 경우
- 티스토리를 3개월 이상 경험해보신 분, 월 50만원 이상 수익을 벌어보신 분.
- 완전 무료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싶은 경우
10) 가장 추천하는 블로그 운영 방식은 무엇인가요?
- 초보자는 블로그스팟이나 티스토리로 시작하여 기본적인 블로그 운영을 익힌다.
- 일정 수준의 경험이 쌓이면 워드프레스로 이전하여 장기적인 수익형 블로그를 운영한다.
이 방법이 가장 안정적이며, 초기 비용 없이 블로그 운영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5. 결론 – 나에게 맞는 블로그 플랫폼 선택하기
블로그를 운영할 목적과 방향에 따라 최적의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지금 바로 블로그를 시작해보세요!
🔗 블로그스팟 가입하기
🔗 워드프레스 시작하기
🔗 티스토리 개설하기
이제 블로그 플랫폼을 결정하고 성공적인 블로그 운영을 시작해보세요!
👉계속하여 아래의 “블로그스팟 개설하기” 부분을 읽어보세요.
6. 구글 블로그 스팟 개설하기
블로그스팟 개설하기 : 초보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
블로그스팟(Blogger)은 구글이 제공하는 무료 블로그 플랫폼으로,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기능을 통해 누구나 쉽게 블로그를 개설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별도의 호스팅 비용 없이도 맞춤 도메인(개인 도메인) 연결이 가능하고, 구글 애드센스를 통한 수익 창출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많은 사용자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구글 블로그스팟을 사용하는 이유
구글 블로그스팟(Blogger)은 다른 블로그 플랫폼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중요한 장점이 있습니다.
- 무료 제공: 블로그스팟은 구글이 제공하는 무료 서비스로, 별도의 호스팅 비용 없이 블로그 운영이 가능합니다.
- 구글 생태계 연동: 구글 애드센스, 구글 애널리틱스, 구글 서치 콘솔 등과 자연스럽게 연동되어 블로그 관리와 수익화가 용이합니다.
- 보안 및 안정성: 구글의 보안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어 해킹 위험이 낮고, 안정적인 서버 환경을 제공합니다.
- 맞춤 도메인 연결 가능: 기본적으로 “.blogspot.com” 도메인이 제공되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 도메인(가비아 등 도메인 등록업체에서 등록한 도메인)을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 SEO 친화적: 구글 검색엔진과의 최적화가 용이하여 블로그의 검색 노출이 유리합니다.
- 심플한 운영 방식: 워드프레스와 같은 CMS보다 인터페이스가 단순하여 초보자도 쉽게 블로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처음 운영하는 사용자부터, 간단한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수익 창출을 원하는 사용자까지 블로그스팟은 최적의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워드프레스에 비해 기능을 확장하는 데에는 제약이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기본적인 세팅 후에 글쓰기 이외의 다른 부분에는 신경쓸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 구글 계정 생성 및 블로그스팟 접속





블로그스팟을 사용하려면 우선 구글 계정이 필요합니다. 만약 이미 계정을 보유하고 있다면 블로그스팟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면 됩니다.
구글 계정이 없는 경우, 구글 계정 생성 페이지에서 새로운 계정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구글 계정은 블로그뿐만 아니라 유튜브, 구글 애드센스, 구글 애널리틱스 등 다양한 구글 서비스와 연동되므로, 블로그 운영을 계획하고 있다면 신뢰도 높은 이메일 주소와 보안이 강화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2단계 인증을 설정하면 조금 더 안심할 수 있습니다.)


2. 새로운 블로그 생성
블로그스팟에 로그인하면 대시보드에서 ‘블로그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블로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블로그 제목: 블로그의 주제와 콘텐츠를 대표할 수 있는 명확한 제목을 정하세요.
- 블로그 주소(URL): “.blogspot.com” 앞에 들어갈 주소를 입력합니다. (예: myblog.blogspot.com)
- 표시 이름 확인: 블로그 독자들에게 표시되는 이름을 입력해주세요.
블로그 주소(URL)는 검색 엔진 최적화(SEO)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간결하면서도 직관적인 주소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블로그 디자인 및 레이아웃 설정
블로그스팟에서는 다양한 무료 및 유료 테마를 제공하며, 이를 활용해 블로그의 분위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테마 설정: 대시보드의 ‘테마’ 섹션에서 원하는 디자인을 선택합니다. 사용자의 개성과 블로그 주제에 맞는 테마를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본적으로 Essential 테마 추천드립니다. 테마 변경시 메타태그 리셋되니 미리 백업해두시고 테마 변경해주세요.
- 레이아웃 구성: ‘레이아웃’ 섹션에서는 블로그의 위젯 배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메뉴바, 사이드바, 푸터 등을 구성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HTML/CSS 수정 가능: 고급 사용자라면 직접 HTML/CSS를 수정하여 맞춤형 디자인을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7. 블로그스팟 설정 항목별 설명 및 SEO 최적화 추천 세팅 가이드

1. 제목 (블로그 이름)
- 설명: 블로그 상단에 표시될 이름입니다. 브랜드 이미지나 주제를 반영하는 이름이 좋아요.
- 추천: 키워드를 활용하거나 기억에 남는 이름으로 설정하세요.
❌ 단순한 이름:민수 블로그
✅ 전략적 이름:알파남의 하루 10분 블로그 부업
,스마트 노하우 연구소
- SEO 최적화 팁:
-브랜드 + 핵심 키워드를 함께 사용
-경쟁 키워드(ex. 부업, 재테크, 수익화)를 포함하면 검색 유입에 유리
-15자 이내가 가독성과 노출에 유리함
2. 설명 (블로그 소개문)
- 설명: 블로그 하단 또는 검색 결과에 표시될 수 있는 설명입니다.
- 추천: 핵심 키워드 포함해서 블로그의 주제를 간결하게 작성하세요. 1~2줄 정도의 간결한 포맷(150자내)
예:티스토리·애드센스 수익화 전략, 실전 블로그 운영 노하우까지 전부 공개합니다.
- SEO 최적화 팁:
-검색 키워드 중심으로 구성 (ex. 수익화, 애드센스, 키워드 분석)
-핵심 독자층(초보자, 부업러 등)이 원하는 정보가 드러나야 함
-1~2문장 구성 + 주요 키워드는 앞쪽 배치
3. 블로그 언어
- 설명: 블로그의 주 언어 설정입니다.
- 추천: 한국어로 콘텐츠를 작성할 경우 Korean – 한국어로 설정 유지하세요. 검색엔진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4. 성인용 콘텐츠
- 설명: 블로그에 성인용 콘텐츠가 포함될 경우 체크합니다.
- 추천: 일반 정보 블로그라면 OFF(비활성화) 상태로 두세요.
※ ON으로 설정하면 검색 노출이 제한될 수 있어요. - SEO 최적화 팁
-성인 콘텐츠 설정이 ON이면 검색 결과에 제한
–OFF 유지 시 더 넓은 타겟층 확보 + 애드센스 승인 유리
5. Google 애널리틱스 측정 ID
- 설명: 블로그 트래픽을 분석할 수 있는 Google Analytics(구글 애널리틱스) 연동 항목입니다.
- 추천: GA4 측정 ID(G-로 시작)를 입력하세요.
→ 예:G-XXXX1234XX
→ 트래픽 분석, 인기 글 확인, 광고 수익 전략에 필수!
6. 파비콘
- 설명: 브라우저 탭에 표시되는 작은 아이콘(사이트 로고)입니다.
- 추천: 블로그 아이덴티티 강화에 유리하니 꼭 설정하세요.
→ 정사각형 PNG 48×48 또는 96×96 사이즈 추천
7. 검색엔진에 표시됨
- 설명: 블로그가 구글, 네이버 등 검색엔진에 노출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설정입니다.
- 추천: 반드시 ON(활성화) 상태로 유지해야 검색 유입이 가능해요.
→ OFF로 하면 블로그 자체가 검색에서 제외됨! - SEO 최적화 팁
-비활성화 상태면 아무리 좋은 글도 검색 노출 불가
-ON으로 두되, 로봇.txt나 검색제한 태그는 사용하지 않는 게 좋음
-초기 개설 후 빠른 색인을 위해 구글 서치 콘솔 등록도 함께 진행할 것

8. 블로그 주소
- 설명: 기본 블로그 주소 (
blogspot.com
으로 끝나는 서브도메인) - 실전 적용 예시:
alpamale2025.blogspot.com
→ 브랜드명 + 연도 조합
- SEO 최적화 팁:
- 주소 자체에 키워드가 포함되면 검색 노출에 소폭 유리
예:blogincome2025.blogspot.com
,workfromhome-tip.blogspot.com
- 그러나 무료 도메인은 브랜드 신뢰도 낮고 확장성 한계 있음
- 장기적으로는 2차 도메인(맞춤 도메인)으로 전환 추천
- 주소 자체에 키워드가 포함되면 검색 노출에 소폭 유리
9. 맞춤 도메인
- 설명: 본인이 소유한 도메인 주소로 연결하는 기능 (예:
myblog.com
) - 실전 적용 예시:
- 구입한 도메인
www.alphamale.kr
을 연결 - 구글 도메인 / 가비아 / 카페24 등에서 구매 → DNS에 블로그 연결
- 구입한 도메인
- SEO 최적화 팁:
- 검색엔진은 .com, .kr, .net 등 최상위 도메인을 더 신뢰
- URL 짧고 명확하면 클릭률 상승
blogspot.com
도메인보다 맞춤 도메인이 애드센스 승인률 및 수익화 전략에 훨씬 유리- 예시 키워드 도메인 전략:
keywordrichblog.com
blogschool.kr
tistoryadsense.com
10. HTTPS + 리디렉션
- 설명: 방문자의 접속을 암호화된 보안 연결로 리디렉션하는 기능
- 실전 적용 예시:
- HTTPS 리디렉션 = ON 상태 유지
- 사용자 또는 검색 엔진이 HTTP로 접속해도 자동으로 HTTPS로 이동
- SEO 최적화 팁:
- 구글 공식 SEO 가이드라인에서도 HTTPS 사용은 검색 순위 요소 중 하나
- HTTP 사용 시 브라우저에서 “보안되지 않음” 경고 → 이탈률 증가
- HTTPS는 사이트 신뢰성 + 검색 노출 향상에 필수

11. 권한 설정: 작성자 및 독자 액세스 관리
Blog 관리자 및 작성자
- 설명: 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는 사람(관리자 / 작성자)을 설정
- 실전 적용 예시:
- 메인 운영자(관리자):
알파남
- 외주 작가, 콘텐츠 에디터 추가 시 작성자 권한으로 초대
- 메인 운영자(관리자):
- 운영 전략 팁:
- 관리자는 블로그 전체 설정까지 변경 가능하므로 신중하게 할당
- 콘텐츠 제작 외에는 관리자 권한 부여 ❌
- 외주 작가나 팀 운영 시 구글 계정으로 “작성자 초대” 활용
더 많은 작성자를 초대하세요
- 설명: 외부 작성자 또는 공동운영자 초대 기능 (이메일로 초대)
- 실전 적용 예시:
- 필진 운영 블로그 → 주제별 작성자 추가 (예: 건강, 재테크, 블로그 부업 등)
- 협업 시 구글 스프레드시트 + 작성자 권한 조합 사용
- 운영 전략 팁:
- 키워드 전문가 → 키워드 분석 후 원고 전달
- 작가 → 콘텐츠 작성
- 운영자 → 업로드 및 최종 수정
👉 이렇게 분업 구조로 운영하면 효율성과 품질 동시 확보
독자 액세스 (공개 여부 설정)
- 설명: 블로그가 누구에게 보이는지 설정 가능
- 전체 공개 / 맞춤 독자만 보기
- 실전 적용 예시:
- 일반 정보 블로그 → 전체 공개 유지
- 강의 전용 블로그, 비공개 자료 공유 시 → 맞춤형 독자 설정
- SEO 최적화 팁:
- 반드시 ‘전체 공개’ 상태 유지해야 검색엔진 노출 가능
- 비공개 상태는 검색 인덱싱 차단됨 (애드센스 수익도 안 나옴)

12.기본 페이지의 최대 게시물 수
- 설명: 홈 화면 또는 카테고리 페이지에서 한 번에 보여줄 게시물 수
- 실전 적용 예시:
7개
설정 → 일반적인 블로그 스크롤 부담 없이 적당
- SEO 및 UX 팁:
- 5~8개 사이 추천 → 페이지 로딩 속도와 콘텐츠 양 균형
- 너무 많으면 로딩 느림, 너무 적으면 회전율 낮아짐
- 각 포스트 썸네일 + 제목 잘 보이게 템플릿 연동 권장
13. 글 템플릿 (선택사항)
- 설명: 글 작성 시 자동으로 입력되는 기본 양식
- 실전 적용 예시:
- 본문 작성 시 반복되는 구조를 미리 저장 (예: 제목/소제목/CTA 버튼 등)
<h2>✔ 주제 요약</h2> <p>...</p> <h2>✔ 실전 적용 방법</h2> <p>...</p>
- 운영 전략 팁:
- 반복 포맷으로 작업 효율 극대화
- 템플릿에 SEO 요소(헤딩 구조, 키워드 자리 등) 포함 가능
- 외주 작가용 템플릿으로도 활용 가능
14. 이미지 라이트박스
- 설명: 이미지 클릭 시 확대(오버레이)로 보여주는 기능
- 실전 적용 예시:
- 제품 리뷰, 스크린샷, 인포그래픽 등 확대 필요 콘텐츠 사용 시 ON
- SEO 및 UX 팁:
- 사용자 편의성과 체류시간 증가에 효과적
-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 유용 → 사용자 만족도 + 페이지 이탈률 감소
15. 이미지 지연 로드 (Lazy Load)
- 설명: 사용자가 스크롤할 때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로딩되는 기능
- 실전 적용 예시:
- 이미지가 많은 콘텐츠(리뷰, 가이드, 사진 모음) → ON 추천
- 속도 & SEO 팁:
- 페이지 초기 로딩 속도 향상 → Google PageSpeed 점수 상승
- Core Web Vitals(구글 속도 기준) 기준 충족에 도움
- 단, 이미지가 많지 않은 블로그는 꺼도 무방
16. WebP 이미지 제공
- 설명: 이미지 용량을 줄여주는 차세대 포맷(WebP)으로 제공
- 실전 적용 예시:
- 고화질 이미지를 자주 올리는 블로그라면 ON 권장
- 속도 & SEO 팁:
- 이미지 용량 감소 → 로딩속도 향상 → SEO에 긍정적 영향
- 단, 일부 구형 브라우저 호환성 문제 있을 수 있어 검토 필요
- WebP 이미지 기본 제작 도구: Canva, TinyPNG WebP 등

17. 댓글 기본 설정
항목 | 설명 | 실전 적용 예시 및 운영 팁 |
---|---|---|
댓글 위치 | 댓글이 본문 아래 표시되는 방식 설정 | ✅ ‘삽입됨’ 유지 → 독자와의 대화 흐름 유지 가능 |
댓글을 달 수 있는 사람 | 누구나? 로그인 사용자만? 설정 가능 | ✅ Google 계정이 있는 사용자로 제한 시 스팸 차단 효과 있음 ❗ 완전 개방 시 도배/광고 우려 |
댓글 검토 | 댓글을 발행 전에 수동 확인할지 여부 | 🔄 사용 안함: 댓글 실시간 공개 (초기 운영 시 추천) 🔒 사용함: 스팸 우려 많을 때 사용 ✏ 운영 초기에는 열어두고, 이후 필요시 조정 |
18. 댓글 세부 옵션
항목 | 설명 | 운영 전략 및 예시 |
---|---|---|
검토 적용 기간 | 과거 글 중 댓글 검토를 적용할 기간 설정 | 기본값: 14일 → 대부분 최신 글만 댓글이 달림 🔁 장기 운영 시 댓글 많은 글만 선택 적용도 고려 |
검토 요청 이메일 | 새 댓글 알림 수신용 이메일 주소 | 운영 블로그라면 꼭 설정하여 댓글 대응 속도 ↑ |
독자 댓글 보안문자 | 댓글 작성 시 보안문자 입력 여부 | OFF 추천 (사용자 불편 증가) → 스팸이 심할 때만 ON |
댓글 양식 메시지 | 댓글 창 위에 안내 문구 삽입 | 예: 💬 질문은 환영! 욕설, 홍보성 댓글은 삭제됩니다. 👉 가이드 문구 추가 시 댓글 품질 개선 효과 있음 |
✅ 운영 전략 요약
항목 | 추천 설정 | 이유 |
---|---|---|
댓글 위치 | 삽입형 | UX 최적화 |
댓글 권한 | Google 계정 사용자 | 스팸 방지 |
댓글 검토 | OFF → 필요 시 ON | 실시간 피드백 가능 |
댓글 양식 메시지 | 간단한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작성 | 품질 향상 + 커뮤니티 유지 |
✍ 예시 댓글 양식 메시지 문구
📌 자유롭게 질문해주세요. 단, 광고성 댓글 및 비방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19.이메일 및 알림 설정 실전 가이드
이메일을 사용하여 게시
- 설명: 이메일로 글을 전송해 자동 게시 가능 (지정된 주소에 전송 시 포스팅됨)
- 실전 활용 예시:
- 외부 환경(모바일, 출장지 등)에서도 이메일만으로 글 게시 가능
- 운영 팁:
- 일반 운영자에게는 비활성화로 두는 게 안전 (보안상 이유)
- 자동화, 예약 발행용도로 쓸 경우에만 활성화 고려
글 알림 구독자 / 사용자 초대
- 설명: 특정 사용자가 블로그 새 글 발행 시 이메일로 알림을 받는 기능
- 실전 활용 예시:
- 충성 독자나 지인에게 새 글 알림 자동 발송
- 글마다 메일로 도착해 구독자 방문 유도
- 운영 팁:
- 콘텐츠 품질이 일정 이상 유지된다면 꾸준한 유입원으로 효과적
- 독자 대상 “이메일 구독 신청” 폼과 함께 운영하면 좋음
- 👉 외부 이메일 서비스(mailchimp, 스티비 등)와 병행하면 더 확장 가능
댓글 알림 구독자 / 사용자 초대
- 설명: 새 댓글이 달릴 때 지정된 이메일로 알림 받는 기능
- 실전 활용 예시:
- 운영자 본인 메일 등록 → 독자 댓글 달릴 때 즉시 확인 가능
- 외주 운영 블로그라면 담당자 이메일 등록해 실시간 대응
- 운영 팁:
- 댓글 관리 반응 속도는 블로그 신뢰도와 직결됨
- 애드센스 승인 시에도 운영자의 반응성은 간접 평가 요소로 작용
[email protected]
처럼 외주 관리용 이메일 설정 가능
✅ 운영 전략 요약
항목 | 설정 권장 여부 | 이유 |
---|---|---|
이메일로 게시 | ❌ 기본 비활성 추천 | 보안상 위험 요소, 자동화 운영 시만 활용 |
글 알림 구독자 초대 | ✅ 소수 운영에 유리 | 충성 독자 대상 유입 채널 확보 |
댓글 알림 구독자 초대 | ✅ 필수 | 독자 소통 빠르게 대응 가능 |
✍ 팁: 이메일 기반 마케팅으로 확장하려면?
- 외부 이메일 뉴스레터 툴 연동 추천:
- 구독자 리스트로 “블로그 인기 글”, “신규 글”, “한 달 요약” 발송 → 팬층 형성
- 구글 폼 + 연동 이메일 자동화로 초기 구독자 모으기 캠페인도 가능

20.서식 설정 (시간대 및 날짜/시간 형식)
시간대 설정
- 설명: 블로그 글 작성, 댓글, 스케줄 등에 기준이 되는 시간대
- 현재 설정:
(GMT-07:00) 미 태평양 시간 – 로스앤젤레스
- 추천 설정:
- 한국 기준 운영 시:
(GMT+09:00) 서울
로 변경 필수
- 한국 기준 운영 시:
- 운영 전략 팁:
- 시간대가 맞지 않으면 예약 발행 시간, 댓글 시간, 게시 순서 오류 발생
- 한국 독자 대상이라면 무조건
서울
시간대로 설정해야 일관성 확보 가능
날짜 헤더 형식
- 설명: 블로그 글 상단에 표시되는 날짜 형식
- 실전 적용 예시:
2025년 4월 4일 (금요일)
→ 가독성 좋은 포맷
- 운영 전략 팁:
- 날짜가 한눈에 보이는 형식이 독자의 정보 신뢰도 높임
- 특히 트렌드 기반 글(이슈, 정책, 가격 등)에서는 날짜가 중요
타임스탬프 형식 (글 본문 하단 시간 표시)
- 설명: 글 게시 시각을 어떻게 보여줄지 설정
- 예시 설정:
2025년 4월 4일
- 운영 전략 팁:
- 날짜만 표시 or 시간까지 표시 선택 가능
- 트렌드 콘텐츠 → 시간까지 노출하는 게 신뢰도에 유리
- Evergreen 콘텐츠(오래가는 정보) → 날짜만 표시해도 충분
댓글 타임스탬프 형식
- 설명: 댓글 작성 시각 표시 방식
- 예시 설정:
2025년 4월 4일 오후 7:33
- 운영 전략 팁:
- 댓글에 시간까지 보이면 운영자의 활동성 보여주기 유리
- 문의/답변형 블로그에서는 타이밍 명확히 보여주는 게 좋음
✅ 서식 설정 요약 정리
항목 | 추천 설정 | 이유 |
---|---|---|
시간대 | GMT+09:00 서울 | 게시/예약/댓글 시간 일치 확보 |
날짜 헤더 형식 | 요일 포함된 형식 | 가독성 및 신뢰도 ↑ |
타임스탬프 형식 | 날짜 또는 날짜+시간 | 콘텐츠 유형에 따라 조정 |
댓글 타임스탬프 | 시간 포함 형식 | 운영자 활동 신뢰도 확보 |
✍ 팁: 서식 설정과 콘텐츠 전략의 연결
- 시간 정보가 중요한 콘텐츠 예시:
- 정부 지원금 안내 / 정책 변경 / 이벤트 일정 / 시세 관련 글
👉 날짜+시간 표시가 콘텐츠 신뢰성에 직접적인 영향
- 정부 지원금 안내 / 정책 변경 / 이벤트 일정 / 시세 관련 글
- 시간 정보가 덜 중요한 콘텐츠 예시:
- 책 리뷰 / 블로그 운영 팁 / 자기계발
👉 날짜만 표시해도 충분
- 책 리뷰 / 블로그 운영 팁 / 자기계발

21. 메타 태그 – 검색 설명 사용 설정
검색 설명 사용 설정
- 설명: 구글, 네이버 등 검색결과에 표시되는 블로그의 요약 설명(Meta Description)
- 현재 상태: ❌ 사용 안 함 → 검색엔진이 임의로 설명 문구 생성
- 추천 설정: ✅ 반드시 ON으로 설정!
실전 적용 예시
❌ 설정 안 했을 때 (기본 상태) | ✅ 설정했을 때 (검색 최적화) |
---|---|
“이 블로그는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자동 추출됨) | “하루 10분 블로그로 월 100만 원 수익! 티스토리·애드센스 실전 전략 대공개.” |
SEO 최적화 팁
- 검색 설명 문구는 블로그의 ‘첫인상’입니다.
- 메타디스크립션은 CTR(클릭률)에 직접적 영향
- 작성 팁:
- 길이: 120~160자
- 핵심 키워드 포함 (예: 블로그 수익화, 애드센스 승인, 부업 전략 등)
- 독자의 궁금증을 해결하는 구조
- 예시: 복사편집
블로그 수익화 어렵다면 주목! 키워드 분석부터 애드센스 승인까지, 실전 전략을 이곳에 담았습니다.
22. 오류 및 리디렉션 설정
Custom 404 페이지 설정
- 설명: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에 접근 시 보여지는 안내 메시지 설정
- 실전 적용 예시: css복사편집
찾으시는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아요 😢 👉 [홈으로 이동] 또는 [최신 글 보기]
- 운영 전략 팁:
- 기본 404는 사용자가 이탈할 확률 높음
- 404 페이지에 CTA(홈, 카테고리, 인기 글 링크) 삽입 권장
- HTML 형식으로 커스터마이징 가능
맞춤 리디렉션
- 설명: 특정 URL이 바뀌었을 때 자동으로 새 주소로 이동하도록 설정
- 실전 적용 예시:
old-url
→new-keyword-optimized-url
- SEO 및 운영 전략 팁:
- 과거 게시글의 URL 구조를 변경했을 때 404 손실 방지
- 검색 노출 유지하면서 유입 경로를 새 주소로 보낼 수 있음
- 게시글 URL 변경 시 반드시 리디렉션 설정 필수!
- 예시: bash복사편집
/2022/01/blog-start.html → /blog-start-guide.html
✅ 요약 정리표
항목 | 설정 권장 | 이유 |
---|---|---|
검색 설명 | ✅ 반드시 사용 | 검색 클릭률(CTR) 상승, SEO 기본 |
Custom 404 | ✅ 설정 추천 | 사용자 이탈 방지, UX 개선 |
맞춤 리디렉션 | ✅ URL 변경 시 설정 필수 | 검색 순위 유지, SEO 손실 방지 |

23. 크롤러 및 색인 생성 (고급 SEO 설정)
맞춤 robots.txt 사용 설정
- 설명: 검색엔진 로봇이 사이트를 어떻게 크롤링할지 제어
- 기본 상태: ❌ 비활성화 (검색엔진이 자동 판단)
- 추천 설정:
- 초보자: 비활성화 유지
- 고급 SEO 유저: ON 후 아래와 같이 설정 makefile복사편집
User-agent: * Allow: / Sitemap: https://블로그주소/sitemap.xml
- 운영/SEO 팁:
- robots.txt로 특정 페이지 색인 제외, 사이트맵 안내 가능
- 잘못 설정하면 검색 차단이 될 수 있으니 주의
- 검색 유입이 많은 블로그일수록 세밀한 제어 시 유리
- 👉 색인 누락 방지 + 사이트맵 인식 필수
맞춤 로봇 헤더 태그 설정
- 설명: 페이지별로 검색 노출 허용 여부를 HTML meta로 제어
- 추천 설정:
- 일반 블로그는 비활성화 유지
- 특정 페이지(예: 비공개 글, 회원 전용 글)만 noindex 설정 시 사용
- 예시:
- 전체 허용:
all
- 검색 제외:
noindex, nofollow
- 전체 허용:
- 주의: 잘못 설정하면 블로그 전체가 검색 제외될 수 있음
Google Search Console 연결
- 설명: 구글의 공식 검색관리 도구
- 운영 팁:
- 반드시 등록 필수! → 색인 현황 확인, URL 제출, 문제 감지
- 사이트맵 제출:
https://블로그주소/sitemap.xml
24. 수익 창출 – 맞춤 ads.txt 설정
맞춤 ads.txt 사용 설정
- 설명: 구글 애드센스 및 광고 파트너의 신뢰된 광고 출처를 명시
- 기본 상태: 비활성화
- 추천 설정: ON → 아래 코드 삽입 (구글 기준)
google.com, pub-xxxxxxxxxxxxxxxx, DIRECT, f08c47fec0942fa0
pub-xxxxxxxxxxxxxxx
는 본인의 애드센스 퍼블리셔 ID로 대체- 운영/수익화 팁:
- 애드센스 광고 수익 손실 방지에 필수!
- ads.txt 설정이 없거나 잘못되면 광고 노출 제한 또는 수익 미지급 발생
- 수익형 블로그 운영자라면 반드시 설정해야 함
✅ 요약 정리표
항목 | 설정 | 이유 |
---|---|---|
robots.txt | 초보자: ❌, 고급자: ✅ | 색인 제어, 사이트맵 등록 가능 |
로봇 헤더 태그 | 일반 블로그: ❌ | 특정 페이지 검색 제외 시 사용 |
Search Console | ✅ 등록 필수 | 색인 상태 확인, SEO 오류 대응 |
맞춤 ads.txt | ✅ 설정 필수 | 애드센스 수익 보호, 광고 신뢰 확보 |
✍ 실전 흐름 요약
- Search Console 등록
→ 사이트맵 제출로 색인 보장 - ads.txt 설정
→ 수익 손실 방지 - 필요 시 robots.txt / 로봇 헤더 태그 세밀 설정

25. 블로그 관리 설정
콘텐츠 가져오기
- 설명: 다른 블로그(Blogger 또는 XML 포맷 블로그)에서 콘텐츠를 가져오는 기능
- 실전 활용 예시:
- 티스토리 → 블로그스팟 전환 시
- 예전 블로그 콘텐츠를 새 블로그로 이전할 때
- 운영 전략 팁:
- 가져온 콘텐츠는 반드시 카테고리 재정리 + SEO 수정 필요
- 광고 연동, URL 구조, 내부링크 점검도 함께 진행해야 함
블로그의 동영상 / 미디어
- 설명: 블로그에 업로드한 영상 및 이미지 등 미디어 관리
- 운영 전략 팁:
- 과도한 이미지/영상 업로드는 속도 저하 원인 → 리사이징 필수
- 영상은 YouTube 삽입 방식 활용 권장 (용량 절약 + 검색 유리)
- 저작권 이슈 있는 미디어는 사전 체크
내 블로그 삭제
- 설명: 블로그 전체 삭제 (30일간 복구 가능)
- 운영 전략 팁:
- 실수 방지 위해 삭제 전 반드시 백업 필수
- 수익형 블로그 또는 승인된 애드센스 블로그는 절대 삭제 금지!
- 폐쇄 블로그는 도메인만 교체해 리브랜딩 운영도 가능
- 애드센스 승인된 블로그는 재활용 가치 있음 → 도메인만 교체해서 새 주제로 운영 가능 (※ 이 전략 중요!)

26. 사이트 피드 설정
블로그 피드 허용 (전체/짧게/없음)
- 설명: RSS 피드를 통해 외부 사이트(뉴스레터, 구독 앱 등)에서 블로그 글을 받아갈 수 있게 허용
- 추천 설정:
전체 허용
- 운영 팁:
- 검색엔진, 키워드 알림, 뉴스레터 서비스에서 콘텐츠를 받아가는 통로
- 너무 짧게 하면 클릭률 낮아지고, 없음으로 하면 콘텐츠 유통 차단됨
- 블로그 외부 유통 전략이 있다면 전체 허용 필수
게시물/댓글 피드 (각각 설정 가능)
- 설명: 게시글/댓글에 대한 개별 RSS 피드 허용 여부
- 운영 팁:
- 블로그 댓글까지 추적하고자 하는 경우 → 전체 허용
- 스팸봇이 댓글 피드 악용할 가능성이 있다면 댓글 피드는 제한도 고려
게시물 피드 리디렉션 URL
- 설명: 피드 주소를 외부 RSS 서비스로 연결 가능
- 실전 적용 예시:
- 피드버너, 메일침프 등과 연결해 뉴스레터 자동 발송
- 예:
https://feeds.feedburner.com/yourfeed
피드 바닥글 / 제목 및 첨부한 링크
- 설명: RSS 피드에 자동으로 붙는 문구 또는 링크
- 운영 팁:
- RSS로 글이 복사되어도 출처 링크가 자동 삽입되도록 설정
- 예시: arduino복사편집
이 글은 알파남 블로그에서 제공되었습니다: https://yourblog.com
27. 기본 설정
Blogger 초안 사용
- 설명: Blogger의 최신 기능(베타 기능 등) 사용 여부
- 운영 팁:
- 기능 실험 목적이면 ON, 안정 운영 시 OFF 유지
- 초보자는 OFF 권장 (간혹 버그 존재)
프로필 수정/보기
- 설명: 블로그에 표시될 작성자의 프로필(이름, 소개, 링크 등)
- 운영 전략 팁:
- 프로필은 신뢰의 시작점
- 수익형 블로그라도 작성자 소개를 자연스럽게 공개하면 구글 평가에 긍정적
- 프로필 내용 예시: 복사편집
1인 블로거, 애드센스 월 100만 원 실전 전략 공유. 전업 블로거 경력 5년차. 다양한 키워드와 블로그 수익화 노하우 전달합니다.
✅ 요약 정리표
항목 | 설정 추천 | 이유 |
---|---|---|
블로그 피드 허용 | 전체 허용 | 콘텐츠 유통, 검색 노출 ↑ |
피드 바닥글 | 출처 자동 삽입 문구 | 콘텐츠 도용 방지 |
Blogger 초안 | 초보자 OFF | 안정성 유지 |
프로필 작성 | 공개 추천 | 신뢰도 상승, E-E-A-T 반영 가능 |
블로그스팟 구글 SEO 최적화 표로 한눈에 정리

8.구글 블로그스팟 글쓰기 화면 설명

✍ 상단: 제목 & 본문 작성 영역
구성 | 설명 | 실전 팁 |
---|---|---|
제목 입력창 | 블로그 글의 제목 입력 | ✔ 키워드 포함 + 자연스러운 문장 → 클릭률 & SEO 상승 예: 2025년 블로그로 월 100만 원 수익내는 실전 전략 |
에디터 메뉴 | 본문 편집 도구 | ✔ H2 , 굵게 , 목록 , 링크 , 이미지 , 인용 , 구분선 등 활용✔ H태그로 소제목 구성 → 검색엔진 구조 이해에 도움 |
본문 입력창 | 실제 콘텐츠를 입력하는 공간 | ✔ 도입 → 본문 → 마무리(Call To Action) 구조 권장 ✔ 사진, 버튼, 인용, 표 등 시각 요소 적극 활용 |
🖋️ 1번: 보기 모드 전환 (작성/HTML 전환)
- 역할:
연필 모양 아이콘
클릭 시 두 가지 모드 전환- 새글 작성 보기 (기본 모드): 비주얼 편집기로 글 작성
- HTML 보기: 직접 HTML 코드를 작성하거나 수정 가능
- 실전 활용 팁:
✔ HTML 모드에서는 다음을 직접 조작 가능:<h2>
,<h3>
직접 삽입<a href="">
링크에nofollow
,target="_blank"
속성 추가- 애드센스 광고 코드 삽입 가능
✔ 기본은 ‘작성 보기’로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만 HTML 보기 전환
🔧 2번: 텍스트 스타일(H태그 설정)
- 위치:
보통 ▼
클릭 시 드롭다운 메뉴 - 기능: 본문 글의 구조를 지정 (HTML 태그: H1~H3)
- 메뉴별 의미:
주 제목
→ H1제목
→ H2 (소제목에 추천)부제목
→ H3 (세부 항목 제목)소제목
/단락 형식
/보통
→ 일반 본문(p태그)
- 실전 팁:
✔ 글 구조를 H2 → H3로 나누면 SEO에 유리하고 가독성 높음
블로그 본문에선 “부제목(H2)”로 소제목을 설정하고,그 아래 상세 항목엔 “작은 제목(H3)”을 사용하세요.→ 이렇게 하면 구글이 글 구조를 잘 이해해서 SEO에 유리해요!
🔗 3번: 링크 삽입 (체인 아이콘)
- 역할: 하이퍼링크 연결
- 실전 팁:
- 내부링크: 블로그 내 다른 글로 연결 → 체류시간 증가
- 외부링크: 신뢰성 있는 출처 연결 → E-E-A-T 강화
🏷️ 4번: 라벨(Label)
- 역할: 카테고리 개념. 글을 주제별로 분류
- 실전 팁:
- 한 글당 1~3개 적절히 사용
- 예:
애드센스
,부업 블로그
,키워드 전략
📅 5번: 게시 날짜
- 역할: 발행 시간 설정 (즉시 / 예약 / 과거 날짜 지정)
- 실전 팁:
- 예약 발행으로 규칙적인 포스팅 유지 가능
- 트렌드 글은 이슈 발생 직전 예약 발행 추천
🔗 6번: 퍼머링크
- 역할: 글의 고유 URL 설정
- 실전 팁:
사용자 정의
클릭 →영문 소문자 + 하이픈
조합- 예:
adsense-strategy-2025
📍 7번: 위치
- 역할: 글과 관련된 지역 위치 지정
- 실전 팁:
- 지역 기반 키워드(맛집, 행사 등)일 때만 활용
- 나머지는 생략해도 무방
📝 8번: 검색 설명 (메타디스크립션)
- 역할: 검색 결과에 표시되는 글 요약 (SEO 핵심)
- 실전 팁:
- 120~160자 이내
- 핵심 키워드 포함 + 클릭 유도 문구 작성
- 예:
블로그로 월 100만 원! 티스토리·애드센스 실전 수익 전략을 공개합니다.
⚙️ 9번: 옵션
- 역할: 댓글 허용 여부, HTML 모드 등 세부 설정
- 실전 팁:
- 댓글은 ON 유지 (소통 + 신뢰도↑)
- 필요한 경우 HTML 직접 편집 가능
📌 요약표
번호 | 기능명 | 실전 핵심 팁 |
---|---|---|
1 | 글쓰기 모드 전환 | HTML 보기에서 코드 삽입, 광고 설정 가능 |
2 | 텍스트 스타일 | H2: 소제목, H3: 세부항목 |
3 | 링크 삽입 | 내부링크 + 새창 열기 |
4 | 라벨 | 1~3개 카테고리 분류 |
5 | 게시 날짜 | 예약 발행 활용 |
6 | 퍼머링크 | 사용자 정의 URL로 SEO 최적화 |
7 | 위치 | 지역 키워드에만 설정 |
8 | 검색 설명 | 키워드 포함 + 클릭 유도형 문장 |
9 | 옵션 | 댓글 허용 ON, HTML 편집 가능 |
TIP. 추가 블로그 개설 및 운영

블로그스팟에서는 하나의 구글 계정으로 여러 개의 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최대 100개까지 블로그를 개설할 수 있으며, 각 블로그는 개별적으로 설정 및 관리됩니다.
1.새 블로그의 주요 특징
항목 | 설명 |
---|---|
도메인(URL) | 각 블로그마다 다른 주소 (example1.blogspot.com , example2.blogspot.com ) |
디자인 | 각각 다른 테마, 레이아웃 적용 가능 |
콘텐츠 | 서로 다른 주제, 글, 페이지 운영 가능 |
설정 | SEO, 댓글, 광고 설정 등 모두 독립적 |
수익화 | 각각의 블로그에 개별 애드센스 연동 가능 |
1개의 커스텀 도메인으로 애드센스 승인 후, 그 하위 도메인들로 수익형 블로그를 확장 운영하려는 전략이죠. 이 전략은 무료 호스팅 + 구글 도메인 기반 광고 게재 최적화라는 점에서 비용 효율적이고 강력한 수익화 모델입니다. 아래에 블로그스팟 중심 하위도메인 운영 전략을 구조적으로 설명드릴게요.
2.1개 도메인으로 애드센스 승인 후, 하위도메인으로 확장 운영 전략
🔑 핵심 개념
- 메인 도메인(예:
yourdomain.com
)으로 애드센스 승인 ✅ - 승인된 도메인의 하위 도메인들(subdomain)에서 광고를 게재 ✅
- 콘텐츠는 전혀 다른 주제, 타겟, 키워드로 무제한 확장 가능 ✅
실전 예시 구조
구분 | 도메인/하위도메인 | 주제 | 설명 |
---|---|---|---|
메인 | mainblog.com | 블로그 수익화 노하우 | 승인용 도메인, 정보 중심 |
서브1 | loan.mainblog.com | 대출 고단가 키워드 | 광고 중심 구성, 전면광고 |
서브2 | diet.mainblog.com | 건강/다이어트 제품 리뷰 | 비교형 콘텐츠 + CTA 버튼 |
서브3 | tool.mainblog.com | 블로그 도구 추천 | 쿠팡 파트너스, 키워드 도구 |
➡ 모두 하위 도메인이지만 동일한 애드센스 계정에서 광고 게재 가능
구글 블로그 + 커스텀 도메인 기반 하위도메인 수익화 전략
핵심 구조
블로그 주소 | 설명 | 예시 주제 |
---|---|---|
mainblog.com | 메인 블로그, 애드센스 승인용 | 블로그 수익화, 정보 |
loan.mainblog.com | 하위도메인 블로그 1 | 고단가 금융 키워드 |
diet.mainblog.com | 하위도메인 블로그 2 | 건강/다이어트 리뷰 |
tools.mainblog.com | 하위도메인 블로그 3 | 블로그 도구 추천 |
➡ 이 모든 블로그는 Blogger 대시보드에서 “새 블로그”로 생성
➡ 단, 도메인 설정에서 각각 다른 하위도메인 연결 (아래 설명 참고)
실전 운영 전략
전략 | 설명 |
---|---|
🎯 블로그별 주제 특화 | 하위도메인마다 고단가 키워드별 특화 콘텐츠 구성 |
💸 전면광고 전략 | 블로그스팟은 본문 중간 광고 수동 삽입 + CTA 버튼으로 유도 |
🔗 내부 링크 | loan.mainblog.com → mainblog.com 으로 내부 연결하여 체류시간 상승 |
📊 GA4/서치콘 | 각 하위도메인마다 별도 속성 및 소유권 등록 가능 |
🧱 디자인 | Blogger 테마는 각 블로그마다 자유롭게 변경 가능 |
9. 블로그스팟 도메인 입히기 (+가비아)
블로그스팟에 개인 도메인 연결하기: 가비아를 활용한 상세 가이드
블로그스팟(Blogger)은 구글이 제공하는 무료 블로그 플랫폼으로, 기본적으로 ‘yourblogname.blogspot.com’과 같은 서브도메인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개인 도메인(가비아 등 도메인 등록업체에서 사용자가 직접 등록한 도메인)을 사용하면 블로그의 신뢰도를 높이고,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며, SEO(검색 엔진 최적화) 측면에서도 유리한 점이 많습니다.
1. 도메인이란 무엇인가? 블로그에 개인 도메인을 연결하는 이유
도메인은 웹사이트의 주소 역할을 하는 고유한 문자열이며,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도메인은 단순한 URL 주소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블로그 운영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 브랜드 인지도 강화: 블로그스팟 기본 도메인(yourblogname.blogspot.com)보다 짧고 직관적인 개인 도메인은 방문자가 쉽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
- 전문성 및 신뢰성 향상: 개인 도메인을 사용하면 블로그가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로 인식됩니다.
- SEO(검색 엔진 최적화) 개선: 독립 도메인을 사용하면 검색 엔진이 블로그를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로 평가하여 검색 순위 상승에 도움이 됩니다.
- 도메인 이동 자유도: 향후 플랫폼을 변경할 경우(예를 들어, 워드프레스로 이동), 동일한 도메인을 유지하면서 블로그를 다른 플랫폼으로 쉽게 이전할 수 있습니다.
- 하위 도메인 활용 가능: 개인 도메인을 소유하면 하위 도메인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블로그나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하위 도메인의 예 (example.com 개인 도메인을 등록 시)
- blog.example.com
- shop.example.com
- en-us.example.com
- jp.example.com
- …
※ 기본 도메인(example.com)에 대하여 애드센스 승인을 받으면 하위 도메인에 대하여는 검토 절차 없이 곧바로 애드센스 광고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2. 가비아에서 도메인 구매하기
개인 도메인 연결을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적절한 도메인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 브랜드 정체성: 블로그의 주제나 성격과 잘 맞는 도메인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간결함: 너무 길거나 복잡한 도메인은 방문자가 기억하기 어렵습니다.
- SEO 최적화: 키워드가 포함된 도메인은 검색 결과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 TLD(최상위 도메인) 선택: .com, .net, .co.kr, .kr 등 다양한 TLD 옵션 중 목표 시장과 목적에 맞는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가비아에서 원하는 도메인을 검색한 후, 사용 가능한 도메인을 선택하여 구매를 완료합니다. 일부 인기 있는 도메인은 이미 등록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변형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비아에서 도메인 구매하는 절차
도메인은 일반적으로 .com, .co.kr, .kr. .net 정도가 무난합니다. .shop의 경우 초기 가입 시 500원 정도로 매우 저렴하지만 갱신할 때에는 49,000원으로 가격이 크게 인상되므로 .shop 도메인을 등록하려는 경우 가격 문제를 고려해야 합니다(참고).







1. 가비아 홈페이지 방문: www.gabia.com에 접속합니다.
2. 도메인 검색: 홈페이지 상단의 ‘도메인 검색’ 창에 원하는 도메인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합니다.
3. 도메인 가용성 확인: 원하는 도메인이 사용 가능한 경우, 가격과 함께 표시됩니다. 사용 불가능한 경우 다른 변형된 도메인을 추천받을 수도 있습니다.
4. 도메인 선택 및 장바구니 추가: 원하는 도메인을 선택하여 장바구니에 추가합니다.
5. MY 가비아로 들어가서 구매한 도메인을 확인합니다.
결제 진행
- 도메인의 등록 기간(1년~10년)을 선택합니다.
- 부가 서비스(도메인 보호, WHOIS 정보 보호 등)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 원하는 결제 방식을 선택하고 결제를 완료합니다.
도메인 등록 완료 및 확인
- 결제가 완료되면, 도메인 등록이 완료됩니다.
- 가비아 ‘내 도메인 관리’ 페이지에서 등록된 도메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블로그스팟에서 맞춤 도메인 설정하기
도메인을 구매한 후, 블로그스팟에서 도메인을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1. 설정 페이지 접속: 블로그스팟 관리자 페이지에 로그인한 후, 좌측 메뉴에서 ‘설정’을 클릭합니다.
2. 맞춤 도메인 입력: ‘게시’ 섹션에서 ‘맞춤 도메인 설정’을 선택하고, 구매한 도메인을 ‘www.bellwoker.com’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3. 오류 메시지 처리: ‘이 도메인에 대한 권한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면, 블로그스팟이 제공하는 두 개의 CNAME 레코드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 첫 번째 CNAME: ‘www’ → ‘ghs.google.com’
- 두 번째 CNAME: 블로그스팟에서 제공하는 고유 값 (각 블로그마다 다름)
- 이 정보를 메모한 후, 다음 단계에서 가비아 DNS 설정을 진행합니다.
4. 가비아에서 DNS 설정하기
DNS 설정은 도메인과 블로그스팟 서버를 연결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 가비아 로그인: 가비아 홈페이지에 로그인하고, ‘My가비아’ 메뉴에서 ‘DNS 관리 툴’로 이동합니다.
- DNS 관리 페이지 접근: 구매한 도메인을 선택한 후, ‘DNS 관리’ 또는 ‘DNS 레코드 설정’을 클릭합니다.
- CNAME 레코드 추가:
- 첫 번째 레코드:
- 타입: CNAME
- 호스트: ‘www’
- 값: ‘ghs.google.com.’ 마지막에 .을 꼭 넣어주세요.
- TTL: 1800
- 두 번째 레코드:
- 타입: CNAME
- 호스트: 블로그스팟에서 제공한 고유 값 이름. 예시 – ‘xd5oiefe7wru’
- 값: 블로그스팟에서 제공한 고유 대상. 예시 – ‘gv-bnmck3lmjbinda.dv.googlehosted.com.’ 마지막에 .을 꼭 넣어주세요.
- TTL: 1800
- 첫 번째 레코드:
5. A 레코드 추가로 도메인 리디렉션 설정하기
블로그 도메인 앞에 ‘www’를 붙이지 않아도 접속 가능하도록 하려면 A 레코드를 추가해야 합니다.
참고로, 타임 투 리브(TTL: Time to live) 값은 기본 옵션으로 ‘600’이 적용되어 있는데, 가비아의 도메인을 연결한 구글 블로그에는 ‘1800’을 적용하였으며, 작성한 DNS 레코드는 필요에 따라 수정 및 삭제가 가능 합니다. (전혀 알 필요가 없지만, TTL에 대하여 궁금한 경우 이 글을 참고해보세요.)



- A 레코드 추가: ‘DNS 레코드 설정’ 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은 A 레코드를 입력합니다.
- A 레코드 1: ‘@’ → 216.239.32.21
- A 레코드 2: ‘@’ → 216.239.34.21
- A 레코드 3: ‘@’ → 216.239.36.21
- A 레코드 4: ‘@’ → 216.239.38.21
이렇게 설정하면, ‘bellworker.com’을 입력해도 ‘www.bellwoker.com’으로 자동 리디렉션됩니다.
6. HTTPS 설정 활성화하기
보안성을 강화하고 SEO 점수를 높이기 위해 HTTPS(SSL 보안 연결)를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블로그스팟의 ‘설정’ 페이지에서 ‘HTTPS 사용’ 및 ‘HTTPS 리디렉션’ 옵션을 ‘사용’으로 변경합니다.
- 설정이 적용되기까지 몇 분에서 몇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 브라우저 주소창에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되면 HTTPS가 정상적으로 적용된 것입니다.
7. 설정 적용 확인 및 문제 해결
DNS 설정이 전파되기까지 최대 48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웹 브라우저에서 ‘bellwoker.com’ 또는 ‘www.bellwoker.com’을 입력하여 정상적으로 접속되는지 확인합니다.
- 만약 접속이 되지 않는다면, 다음 사항을 점검합니다:
- DNS 설정이 정확히 입력되었는지 확인
- 설정이 반영될 시간을 충분히 기다렸는지 확인
- 가비아에서 네임서버 설정이 변경되지 않았는지 확인
-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ping bellworker.com 또는 nslookup bellwoker.com 명령어를 사용하여 올바른 IP 주소가 반환되는지 확인합니다.
블로그스팟에 개인 도메인을 연결하는 과정은 처음에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한 번 설정하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개인 도메인을 활용하면 블로그의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고, SEO 성능을 강화하며, 방문자들에게 보다 전문적인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가비아를 활용한 DNS 설정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모든 과정에서 세부 설정을 신중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10. 블로그스팟 하위도메인 입히기 (+가비아)
블로그스팟에 가비아 하위 도메인 연결하는 방법
블로그스팟(현재의 블로거)은 사용자가 무료로 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도록 구글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blogspot.com 도메인은 전문성이나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유한 하위 도메인을 사용하여 블로그의 신뢰성과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2차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이란?
도메인은 인터넷 상의 주소 체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1차 도메인(최상위 도메인, TLD): .com, .net, .kr 등 최상위 도메인을 의미합니다.
- 2차 도메인(Second-Level Domain): example.com과 같이 최상위 도메인(TLD) 앞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직접 등록할 수 있는 도메인입니다. (※ 참고로 티스토리에서 개인도메인을 간혹 2차 도메인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하위 도메인(Subdomain): blog.example.com과 같이 2차 도메인 앞에 추가되는 주소로, 특정 서비스나 섹션을 분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2차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의 차이점
- 2차 도메인은 독립적인 웹사이트 주소이며, 주로 브랜드나 기업의 공식 사이트로 사용됩니다.
- 하위 도메인은 2차 도메인의 일부로서, 특정 서비스(예: 블로그, 고객지원, 쇼핑몰 등)를 구분하여 운영하는 용도로 활용됩니다.
- SEO(검색 엔진 최적화) 관점에서, 2차 도메인은 새로운 도메인으로 인식되는 반면, 하위 도메인은 기존 도메인의 일부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메인 사이트의 도메인 권한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콘텐츠를 운영하고 싶다면 하위 도메인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기본 도메인에 대하여 애드센스 광고 승인을 받으면 하위 도메인에는 추가적인 승인 절차 없이 광고를 곧바로 게재할 수 있습니다.
1. 메인 블로그가 구글 블로그일 때 구글 블로그 하위 도메인 연결하기







- 가비아 로그인: 가비아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
- 도메인 관리 페이지 이동: 상단 메뉴에서 ‘MY 가비아’로 이동합니다. DNS 관리툴로 들어갑니다.
- 도메인 선택: 하위 도메인을 추가할 2차 도메인을 선택합니다.
- DNS 설정 메뉴 선택: ‘DNS 관리’에서 ‘DNS 레코드 수정’ 메뉴로 이동합니다.
- 하위 도메인 추가:
- ‘레코드 추가’ 또는 ‘CNAME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 호스트명에 원하는 서브 도메인 명을 넣어줍니다 (예: one.bellworker.com의 경우 one 입력, shop.bellworker.com의 경우 shop 입력…).
- 레코드 유형을 CNAME으로 선택합니다.
- 값(타겟)으로 ghs.google.com.을 입력합니다. 마지막에 .을 꼭 넣어주세요
- 확인을 누른 후 저장 버튼을 눌러 적용합니다.
- 적용 시간 확인: DNS 변경 사항은 일반적으로 30분에서 48시간 내에 반영됩니다.
블로그스팟 설정




- 블로그스팟 대시보드 접속: 블로그스팟에 로그인하고, 설정하려는 블로그의 대시보드로 이동합니다.
- 설정 메뉴 선택: 왼쪽 사이드바에서 ‘설정’을 클릭합니다.
- 게시 주소 설정: ‘게시’ 섹션에서 ‘맞춤 도메인’ 옵션을 선택하고, 구매한 도메인의 하위 도메인 주소를 입력합니다. (예: one.bellworker.com)
- 도메인 리디렉션 OFF를 유지하고 HTTPS 사용여부와 HTTPS 리디렉션은 ON 상태로 켜주시면 됩니다.
2. 메인 블로그가 티스토리 블로그일 때 구글 블로그 하위 도메인 연결하기




- 설정 페이지 접속: 블로그스팟 관리자 페이지에 로그인한 후, 좌측 메뉴에서 ‘설정’을 클릭합니다.
- 맞춤 도메인 입력: ‘게시’ 섹션에서 ‘맞춤 도메인 설정’을 선택하고, 하위 도메인을 ‘two.도메인이름.com’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 오류 메시지 처리: ‘이 도메인에 대한 권한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면, 블로그스팟이 제공하는 두 개의 CNAME 레코드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 첫 번째 CNAME: ‘two’ → ‘ghs.google.com’
- 두 번째 CNAME: 블로그스팟에서 제공하는 고유 값 (각 블로그마다 다름)
이 정보를 메모한 후, 다음 단계에서 가비아 DNS 설정을 진행합니다.
가비아 설정









가비아 설정
DNS 설정은 도메인과 블로그스팟 서버를 연결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가비아에서 CNAME 및 A 레코드를 추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비아 로그인: 가비아 홈페이지에 로그인하고, ‘My가비아’ 메뉴에서 ‘DNS 관리툴’로 이동합니다.
- DNS 관리 페이지 접근: 하위도메인 연결할 티스토리 도메인을 선택한 후, ‘DNS 관리’ 에서 ‘DNS 레코드 수정’을 클릭합니다.
- CNAME 레코드 추가:
- 첫 번째 레코드:
- 타입: CNAME
- 호스트: ‘two’
- 값: ‘ghs.google.com.’ 마지막에 .을 꼭 넣어주세요.
- TTL: 1800
- 두 번째 레코드:
- 타입: CNAME
- 호스트: 블로그스팟에서 제공한 고유 값 이름. 예 – ‘orf63wz3rfyx’
- 값: 블로그스팟에서 제공한 고유 대상. 예 – ‘gv-sk4pnnyorkkzsm.dv.googlehosted.com.’ 마지막에 .을 꼭 넣어주세요.
- TTL: 1800
- 첫 번째 레코드:
- 다시 블로그 스팟으로 돌아와 저장을 눌러주시면 맞춤 도메인창에 티스토리 하위블로그로 연결이 됩니다.
- 티스토리 블로그가 메인도메인일 경우 블로그 스팟 도메인 리디렉션은 OFF를 유지하셔도 되고 ON 하셔도 됩니다. HTTPS 사용여부와 HTTPS 리디렉션은 ON 상태로 켜주시면 됩니다.

3. 도메인 연결 확인 및 SSL 설정
DNS 설정이 완료되면, 블로그스팟에서 도메인 연결을 확인하고 SSL을 설정해야 합니다:
- 도메인 연결 확인: 블로그스팟 대시보드의 ‘설정’ > ‘게시’ 섹션에서 도메인이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연결이 완료되기까지 최대 48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SSL 설정: 도메인 연결이 확인되면, ‘HTTPS 사용’ 옵션을 활성화하여 SSL을 설정합니다. 이를 통해 블로그 방문자에게 안전한 연결을 제공합니다. SSL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 검색 엔진에서 ‘안전하지 않은 사이트’로 표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활성화해야 합니다.
- 브라우저에서 도메인 접속 테스트: 설정 후 브라우저에서 직접만든 하위도메인 주소로 접속하여 정상적으로 연결되는지 확인합니다.
하위 도메인 연결 후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1) DNS 레코드를 제대로 설정했는지 확인하고, 2) DNS 정보 변경 후 최대 48시간까지 변경 사항이 전파되는 데 최대 48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기다리도록 합니다.
가비아에서 구매한 도메인의 하위 도메인을 블로그스팟 블로그에 연결하면, 블로그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올바른 DNS 설정과 SSL 적용을 통해 보안성을 높이고, SEO 가시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11. 블로그스팟 출생신고 (구글, 네이버, 빙, 다음)
블로그를 운영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검색 엔진 최적화(SEO)입니다.
검색 엔진에 블로그를 등록하면 웹 크롤러가 블로그를 보다 신속하게 인식하고, 검색 결과에서 더 높은 순위를 차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특히, 구글, 네이버, 빙, 다음과 같은 주요 검색 엔진에 블로그를 등록하면 검색 노출이 최적화될 뿐만 아니라, 검색 트래픽 증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1. 구글에 블로그 등록하기
구글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검색 엔진입니다.
블로그를 구글에 등록하면 글로벌 사용자들에게 콘텐츠를 노출할 기회를 얻게 되며, 구글의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 기반 검색 알고리즘이 블로그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콘솔 등록 및 활용 (도메인주소일때)
-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하여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 ‘속성 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도메인 주소’에 블로그 주소를 입력한 후 ‘계속’을 클릭합니다.
- 블로그스팟과 같은 구글 계정이라면 서치 콘솔은 자동으로 소유권이 인증됩니다.
- ‘사이트맵’ 섹션에서 sitemap.xml 과 feeds/posts/default?alt=rss 을 추가하여 제출합니다.
- 구글 인덱싱 요청: 서치 콘솔에서 ‘URL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블로그의 주요 URL을 개별적으로 수동색인하면 보다 빠른 색인이 가능합니다.









구글 서치콘솔 등록 및 활용 (구글 블로그 주소일때)
구글 서치 콘솔에 사이트 추가 및 SEO 최적화
-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하여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 ‘속성 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도메인 주소’에 블로그 주소를 입력한 후 ‘계속’을 클릭합니다.
- 같은 구글 계정의 블로그 스팟이라면 서치콘솔은 소유권이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 ‘사이트맵’ 섹션에서 /sitemap.xml 과 /feeds/posts/default?alt=rss 을 추가하여 제출합니다.
- 구글 인덱싱 요청: 서치 콘솔에서 ‘URL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블로그의 주요 URL을 개별적으로 수동색인하면 보다 빠른 색인이 가능합니다.
- 구글 계정 A의 블로그스팟을 구글계정 B의 서치콘솔로 등록하고 싶다면 ‘HTML 태그’ 방식을 선택하여 제공된 메타 태그를 복사합니다. 블로그스팟의 테마 메뉴에 HTML 편집 페이지에서 안에 메타 태그를 삽입합니다.
추가 SEO 팁
- 구글은 사용자 경험(UX)을 중요하게 여기므로 반응형 웹 디자인을 적용하고 모바일 친화적인 블로그 환경을 구축해야 합니다.
- 콘텐츠 품질이 높아야 구글 알고리즘이 긍정적으로 평가하므로, 고유한 정보와 전문성을 갖춘 글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등록 및 활용
구글 애널리틱스는 블로그 방문자 데이터를 분석하고 트래픽 증가 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 구글 애널리틱스에 접속하여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 ‘측정 시작’을 클릭하고 블로그 설정할 이름과 속성 만들기를 입력합니다.
- 데이터 수집 시작하기 에서 웹사이트 선택하고 데이터 세부정보를 추가합니다.
- ‘데이터 스트림’에서 웹사이트 URL과 이름을 적어주고 추적 ID (예: G-BB3M1SWFTC) 를 생성합니다.
- 블로그 스팟의 설정으로 들어가서 구글 애널리틱스 측정 ID를 넣어줍니다.
- 생성된 추적 ID 또는 구글 태그를 HTML 편집에 들어가 HTML 태그 안에 삽입합니다. (둘중에 하나만 하시면 됩니다.)
- 설정이 완료되면 구글 애널리틱스 대시보드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 애널리틱스 활용 팁
- ‘행동 흐름’을 분석하여 방문자가 어떤 경로로 유입되고 이탈하는지 파악합니다.
- ‘사용자 획득’ 보고서를 활용하여 검색 엔진별 트래픽 기여도를 비교합니다.
- ‘이벤트 추적’을 설정하여 방문자가 버튼 클릭, 페이지 이동 등의 행동을 했는지 분석합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서 HTML 태그를 그대로 복사하여 와 사이에 추가합니다. 아래와 같이 바로 아래에 추가해도 됩니다.







2. 네이버에 블로그 등록하기
네이버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검색 엔진이므로 블로그를 네이버에 등록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특히 네이버는 자체 검색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네이버 블로그에 유리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지만, 독립 블로그도 웹문서 영역을 통해 검색 노출이 가능합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사이트 추가 및 SEO 최적화
-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
- ‘웹마스터 도구’에서 ‘사이트 등록’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이트 등록시 블로그 주소 앞에 https://를 붙여주세요.
- 블로그 도메인 URL을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 소유권 확인을 위해 제공된 메타 태그를 블로그스팟 html편집에서 태그 안에 삽입한후 저장합니다.
-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서 ‘소유 확인’을 진행하여 인증을 완료합니다.
- ‘요청’ 메뉴에서 ‘RSS 제출’과 ‘사이트맵 제출’에 각각 등록합니다.
- RSS 제출에는 https://블로그주소.com/feeds/posts/default?alt=rss 를 입력하면 됩니다.
- 사이트맵 제출에는 https://블로그주소.com/sitemap.xml 을 입력하면 됩니다.
추가 SEO 팁
- 네이버는 자체 검색 엔진 ‘C-Rank’를 적용하므로, 블로그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네이버 웹문서 영역에서 블로그가 잘 노출되려면 양질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네이버 키워드 검색 트렌드를 분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3. 빙에 블로그 등록하기
빙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운영하는 검색 엔진으로, 최근 점유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윈도우 OS 및 엣지(Edge) 브라우저와의 연동성이 강하므로 등록해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빙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 추가 및 SEO 최적화
- 빙 웹마스터 도구에 접속하여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 ‘속성 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블로그 URL을 입력합니다.
- 구글 서치콘솔을 등록했다면 가져오기를 누르면 자동으로 소유권 확인이 됩니다.
- 사이트 수동추가 할 경우 ‘메타 태그’ 방식을 선택하여 제공된 메타 태그를 복사한 후 블로그 스팟의 태그 안에 삽입합니다.
- ‘확인’ 버튼을 눌러 소유권 인증을 완료합니다.
- ‘사이트맵’ 섹션에서
https://블로그주소.com/sitemap.xml과
https://블로그주소.com/feeds/posts/default?alt=rss
을 추가하여 제출합니다
추가 SEO 팁
- 빙은 백링크(다른 웹사이트에서 내 블로그로 연결된 링크)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검색 엔진입니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웹사이트에서 백링크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이미지, 동영상) 검색에서도 강점을 가지므로, 블로그 포스트에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다음에 블로그 등록하기
다음은 카카오에서 운영하는 검색 엔진으로, 포털 검색 트래픽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는 곳입니다.
국내 사용자 대상 블로그라면 다음에도 등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검색 등록 절차 및 SEO 최적화
- 다음 검색 등록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블로그 URL을 입력하고 사이트 정보를 기입합니다.
- 신청자 정보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등록 요청이 완료되면 처리 결과가 이메일로 발송됩니다.
추가 SEO 팁
- 다음은 네이버와 유사하게 자체 검색 알고리즘을 활용하므로, 다음 카카오의 서비스(카카오뷰 등)와 연계할 경우 검색 노출에 유리합니다.
- RSS 피드를 등록하고 정기적으로 콘텐츠를 업데이트하여 검색 봇이 블로그를 자주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검색 엔진 등록은 블로그 운영에서 필수적인 과정이며, 이를 통해 검색 결과 노출을 극대화하고 트래픽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각 검색 엔진마다 고유한 알고리즘을 적용하므로, 단순 등록이 아니라 검색 엔진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화 전략을 함께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색 엔진 등록 후에는 꾸준한 콘텐츠 업데이트와 SEO 최적화 작업을 병행하여 블로그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높여야 합니다.
12. 블로그스팟 30분만에 애드센스 신청하기 (승인비서 gpt)
블로그스팟에서 30분 만에 애드센스 승인받기: 알파남 승인 비서 활용 가이드
1. 블로그스팟 계정 생성 및 기본 설정
블로그스팟(Blogger)에 접속하여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새 블로그를 개설할 때 주제에 맞는 블로그 이름과 URL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블로그 주제는 애드센스 정책에 적합해야 하며, 수익성이 높은 키워드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 건강, IT, 여행 등의 주제가 승인율이 높습니다. 또한, 블로그 설명을 SEO 최적화하여 검색 엔진에 잘 노출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2. 애드센스팜 승인 비서 활용하기
애드센스팜 승인 비서는 애드센스 승인에 최적화된 글 작성 및 콘텐츠 전략을 제공합니다. 이를 활용하면 승인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 애드센스 승인에 적합한 글 주제를 추천받을 수 있습니다.
- 차별화된 글 구성 방식 및 키워드 전략을 제시해 줍니다.
- 애드센스 승인 기준에 맞는 콘텐츠를 자동 분석하여 조언합니다.
- 승인 가능성이 높은 블로그 카테고리 및 트렌드 분석을 지원합니다.
특히, 승인 비서에서 제안하는 템플릿을 활용하면 승인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승인 후 최적화된 광고 배치를 도와줍니다.






3. 필수 페이지 작성
- 소개 페이지: 블로그의 목적, 주제, 그리고 작성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개인정보 처리방침: 방문자의 개인정보를 어떻게 수집하고 사용하는지에 대한 정책을 명시합니다.
- 이용약관: 방문자가 블로그를 이용하는 데 있어 지켜야 할 규칙을 설명합니다.
- 문의 페이지: 블로그 운영자와 연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4. 승인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 작성
애드센스 승인을 받으려면 최소 15~20개의 고품질 포스트가 필요합니다. 승인 비서를 활용하면 승인 기준에 맞는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 게시물은 800자 이상으로 작성하고, 독창적인 내용이어야 합니다.
- 키워드 최적화와 가독성 높은 글 구성이 중요합니다.
- 승인율을 높이기 위해 광고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교육, 정보성 콘텐츠를 포함하세요.
-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를 적절히 활용하고, 글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 내부 링크를 활용하여 블로그 내 체류 시간을 늘리고, 검색 엔진 최적화를 강화하세요.
5. 도메인 연결 및 HTTPS 설정
블로그스팟은 기본적으로 blogspot.com 도메인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도메인을 사용하면 애드센스 승인 확률이 높아집니다.
가비아, 카페24 등의 도메인 등록업체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블로그스팟에 연결하세요. 또한, HTTPS 설정을 활성화하여 보안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사용자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SSL 인증서를 활성화하세요.
- 맞춤 도메인을 사용하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해 도메인을 구입한 후 최소 2~3개월 동안 콘텐츠를 꾸준히 업로드하세요.
6. 애드센스 신청 및 승인 절차













구글 애드센스 계정이 없는 경우
- 블로그 스팟에서 수익탭을 선택 한 후 ‘애드센스 계정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약관을 동의하고 애드센스 가입합니다.
- 지급받을 정보를 입력힙니다.
- 애드센스에 사이트를 연결합니다.
- 자동으로 소유권이 확인 되니 다음을 누르고 검토요청 합니다.
- 사이트 동의 메세지는 3번째를 선택한후 제출합니다.
- 애드센스 사이트 탭에 들어가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계정이 있는 경우
- 블로그스팟 대시보드에서 ‘수익’ 탭으로 이동합니다.
- ‘애드센스 연결’ 버튼을 클릭하고 구글 애드센스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사이트탭에서, 새 사이트를 누른후 에드센스 신청 할 도메인 주소를 입력한 후 검토요청을 누르고 제출합니다.
- 구글에서 블로그를 검토하는 동안(최대 2주 소요),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업데이트하세요.
- 승인되면 광고 코드를 삽입하고, 본격적으로 광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승인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승인 대기 중에도 블로그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새로운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기존 게시물을 보완하여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구글 블로그의 구글 ID와 애드센스의 구글 ID가 다를 때 (애드센스 사용자 추가)
두 ID가 다를 때 구글 애드센스에 사용자를 추가해 자동으로 애드센스 승인 요청되는 것을 설명하겠습니다.
사용자를 추가하면 애드센스 실제 계정은 하나이지만 기존 계정 및 추가 사용자 계정이 이 두 개 모두 애드센스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구글 블로그의 구글 ID는 에드센스가 가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여야 사용자 추가로 연동이 가능합니다.
애드센스 사용자 추가하는 방법








1. 새 사용자 초대
- 애드센스 ‘계정’ → ‘액세스 및 승인’ → ‘사용자 관리’ 이동
- ‘+새 사용자’ 버튼 클릭 후 구글 ID 입력
- 사용자 초대 버튼 클릭
2. 초대 수락 및 승인 진행
- 초대받은 이메일 확인 후 시크릿 모드로 링크 열기
- 구글 계정 로그인 후 ‘초대 수락’ 클릭
3. 계정 승인 확인
- 애드센스 사용자 관리에서 상태가 활성으로 변경되면 완료












구블 블로그 HTML에 애드센스 코드 삽입하는 방법
1. 블로그 HTML에 에드센스 코드 추가
- 에드센스 로그인후 광고 탭에서 코드가져오기 선택
- 에드센스 코드 복사하기
- 구글 블로그스팟에서 ‘테마’ → ‘HTML 편집’ 클릭
- 복사한 애드센스 pub 코드를 태그 안에 삽입
2. 애드센스 신청하기
- 애드센스에 로그인 후 ‘사이트’ → ‘+새 사이트’ 선택
- 블로그 URL 입력 후 저장
3. 내 사이트 연결 및 검토 요청
- 애드센스에서 ‘내 사이트 연결’ 버튼 클릭
- 검토 요청 진행 (소유권 확인은 pub 코드 삽입만으로 자동 처리됨)
8. 승인 후 해야 할 일
애드센스 승인을 받은 후에는 광고 배치 최적화가 중요합니다. 방문자의 이탈을 최소화하면서도 클릭율을 높일 수 있도록 광고 위치를 조정하세요.
- 광고를 콘텐츠와 자연스럽게 녹아들게 배치
-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과도한 광고 사용 자제
- 광고 클릭을 유도하는 금지 행위(클릭 유도 문구, 속임수 광고) 방지
또한, 정책 위반이 발생하지 않도록 애드센스 가이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콘텐츠 품질을 유지해야 합니다.
마무리
애드센스팜 승인 비서를 활용하면 30분 만에 애드센스 승인을 받을 확률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블로그스팟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승인 후에도 지속적인 콘텐츠 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해 보세요.
또한, 승인 후 지속적으로 트래픽을 증가시키기 위해 SEO 최적화 전략을 강화하고,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블로그 노출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3. 블로그스팟 승인 이후 광고 세팅
블로그스팟 애드센스 승인 후 광고 설정 가이드
애드센스를 통해 블로그에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광고 배치와 지속적인 성과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1. 블로그스팟에서 애드센스 광고 설정하기
애드센스 승인 후 광고를 원활하게 게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설정을 완료해야 합니다.
블로그스팟의 자동 광고 기능을 활용하면 최적의 광고 배치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1-1. 애드센스 계정과 블로그스팟 연결
- 블로그스팟 계정에 로그인: 블로그스팟(Blogger) 계정에 로그인합니다.
- 수익 메뉴로 이동: 왼쪽 메뉴에서 ‘수익’을 클릭합니다.
- 블로그에 광고 표시 방법 : ‘자동광고’ 옵션을 선택합니다.
- ‘에드센스로 이동‘ 버튼을 눌러 에드센스 사이트로 이동 합니다
- 자동 광고 설정: 애드센스 계정에서 광고 탭으로 들어가 자동 광고 세팅할 사이트를 선택하여 설정합니다. 자동 광고는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광고 위치를 결정하여 게재합니다.
1-2. 자동 광고 설정의 장단점 분석
장점:
- 별도의 광고 배치 고민 없이 자동으로 최적화된 위치에 광고 게재
- 방문자의 화면 크기와 콘텐츠에 맞춰 광고를 동적으로 조정 가능
- 시간 절약 및 편리한 관리 기능 제공
단점:
- 자동 광고 배치가 가독성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음
- 일부 영역에서 광고 노출이 과도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 저하 가능
- 수익 극대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최적화가 필요







2. 수동 광고 배치로 수익 최적화하기
자동 광고만으로는 수익을 극대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동 광고 배치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2-1. 광고 단위 생성 및 코드 삽입
- 광고 단위 생성: 애드센스 계정에서 ‘광고’ > ‘광고 단위기준’ > ‘디스플레이 광고’를 선택하여 원하는 크기와 유형의 광고를 생성합니다.
- 코드 복사: 생성된 광고 단위의 코드를 복사합니다.
- 블로그에 코드 삽입: 블로그스팟의 ‘테마’ > ‘HTML 편집기’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광고 코드를 삽입합니다.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광고 배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게시물 제목 아래: 콘텐츠를 읽기 전 광고 노출 가능
- 본문 중간: 사용자 스크롤 시 자연스럽게 광고 노출
- 사이드바: 지속적인 노출로 광고 클릭률 증가
- 게시물 하단: 콘텐츠 소비 후 광고 클릭 가능성 증가
2-2. 광고 배치 최적화 전략
- 반응형 광고 사용: 방문자의 화면 크기에 맞게 자동 조정되는 광고를 배치하여 UX를 개선
- 광고 밀도 조절: 광고 과부하를 방지하고 콘텐츠 가독성을 유지
- A/B 테스트 진행: 다양한 광고 배치를 시도하여 최적의 위치 파악
3. 광고 성과 모니터링 및 최적화
광고 수익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터 분석과 최적화가 필수적입니다.
3-1. 애드센스 성과 분석 방법
- 클릭률(CTR) 확인: 광고 노출 대비 클릭 비율을 분석하여 가장 효과적인 광고 단위를 파악
- 노출수 및 수익 분석: 특정 광고 위치나 유형이 높은 수익을 창출하는지 데이터 기반 검토
- 페이지 속도 영향 평가: 광고가 로딩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체크하여 UX 개선
3-2. 최적화를 위한 핵심 전략
- 광고 크기 및 유형 최적화: 사용자가 반응하는 광고 크기 및 유형을 파악하고 조정
- 비효율적인 광고 제거: 클릭률이 낮거나 사용자 경험을 해치는 광고는 제외
- 콘텐츠와 광고 조화 고려: 콘텐츠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광고 배치
4. 콘텐츠 품질과 사용자 경험 유지
애드센스 수익을 높이려면 광고뿐만 아니라 블로그 자체의 콘텐츠 품질과 사용자 경험도 중요합니다.
4-1. 고품질 콘텐츠 유지
- 유용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 방문자가 필요로 하는 콘텐츠를 정확하고 심층적으로 다룸
- 가독성 높은 포맷 적용: 짧은 문단, 이미지 활용, 적절한 소제목 사용
4-2. 블로그 속도 및 모바일 최적화
- 이미지 및 코드 최적화: 페이지 로딩 속도를 단축하여 사용자 이탈 방지
- 반응형 디자인 적용: 모바일 환경에서도 가독성과 광고 노출 최적화
블로그스팟에서 애드센스 승인을 받은 후 광고 설정을 최적화하려면 자동 광고와 수동 광고 배치를 병행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성과 분석과 개선이 필요합니다.
특히 콘텐츠의 품질과 사용자 경험을 유지하면서 광고를 최적화하는 것이 장기적인 수익 창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티스토리와 달리 블로그스팟은 다음(Daum) 노출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글만 열심히 써서는 수익이 나기까지 최소 3~6개월의 시간이 걸립니다. 그래서 블로그스팟으로 돈을 벌기 위해서는 초반부터 외부유입 작업을 전략적으로 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외부유입 작업은 단지 방문자 수를 늘리는 데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는 강력한 백링크 자산이 되어 블로그 전체의 SEO 성과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 결국 초반에 얼마나 다양한 포털, 커뮤니티, SNS 등에 글을 퍼뜨리고 유입을 시키느냐에 따라 단기간 수익 여부가 갈리게 되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티스토리처럼 기다리는 방식보다는, 블로그스팟은 외부유입을 생활화하면서 능동적으로 노출 채널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전략입니다.
애드센스를 시작하는 가장 큰 목적은 결국 ‘돈을 버는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수익이 나지 않으면 재미도 쉽게 사라지고 결국 포기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특히 블로그스팟이나 워드프레스처럼 구글 기반의 플랫폼은 글을 써도 바로 반응이 오지 않고, 구글 샌드박스나 외부유입에 대한 이해 없이 시작하면 2~6개월 동안 무반응인 시간을 견뎌야 하기에 많은 사람들이 초반부터 지치기 쉽습니다.
그래서 저는 초반에는 유지비가 들지 않고, 노출도 빠르며, 반응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티스토리에서 글쓰기 기술과 돈이 되는 키워드, 수익을 만드는 글의 공통점을 먼저 체득한 뒤에 워드프레스나 블로그스팟으로 확장해 나가길 권장드립니다.
결국, 이 과정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공략하느냐에 따라 ‘재미’의 유무가 갈립니다. 수익이라는 보상이 꾸준히 따라오면 우리의 뇌는 게임처럼 성취감을 느끼고, 점점 더 몰입하게 됩니다.
반대로 아무리 열심히 해도 반응이 없으면, 게임에서 벽에 막혀 포기하듯 블로그도 멈추게 되죠. 그래서 공략집이 필요합니다. 수익형 블로그에도 누군가 다녀간 길, 검증된 노하우가 존재합니다. 그걸 알면 훨씬 빠르게, 덜 지치고, 효율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블로그스팟을 통해 월 500만 원이라는 현실적인 목표를 향해 나아가기 위한 본격적인 운영 전략을 2탄에서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진짜 돈 버는 노하우는 지금부터 시작이니, 마음의 준비를 단단히 해두세요. 당신도 분명 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팜에 있는 무료자료는 시중에서 300만원 이상에도 판매되는 가치 있는 내용들로 채워져있습니다. 혹시라도 PDF로 소장, 추가 후기자료를 보고 싶으면 아래게시판에 후기작성 부탁드립니다.
해당 책은 곧 유료로 전환될 예정이니 참고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