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하위 도메인 세팅하기

워드프레스 하위 도메인 세팅하기 :: 안녕하세요. 애드센스팜 포스트인컴입니다. 이전 칼럼에서는 티스토리 하위 도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본 칼럼에서는 워드프레스 하위 도메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메인 도메인, 하위 도메인 개념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티스토리와 다르게 워드프레스는 도메인이 있어야 운영 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메인 도메인 하위 도메인을 어떻게 운영해야하는지에 대해 설명드리는 것이 옳은 것 같습니다.

워드프레스에서 하위 도메인을 활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워드프레스 하위 도메인 활용방법

제가 하위 도메인 활용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바로 외부링크 활용입니다. 외부링크, 내부링크를 클릭 했을 때 애드센스 전면광고가 나오기 때문에 CPM, CPC 단가를 높이는 수단으로 활용되기 때문입니다.

이부분은 티스토리도 같은 맥락으로 운영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는 차원으로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보통 워드프레스 기준에서 하위 도메인을 활용하는 방법은

  • 하위 도메인 > 하위 도메인 > 메인 도메인
  • 하위 도메인 > 메인 도메인
  • 하위 도메인 > 하위 도메인 > 하위 도메인

이런식으로 거미줄처럼 묶는 형태를 가장 많이 활용하며, 이 형태는 워드프레스 뿐만 아니라 티스토리도 마찬가지라는 것을 인지해주셨으면 합니다.

워드프레스 하위 도메인 추가 방법

도메인을 구매했다면, https://dns.gabia.com/ 해당 링크로 들어가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참고로 값/위치 중 아이피값은 가렸습니다. 변경하고자 하는 도메인 옆에 파란색 폰트로 된 설정 버튼을 눌러 줍니다.

설정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이 레코드 수정 버튼이 보입니다. 다시 눌러줍니다.

이제 최종적으로 도메인의 DNS 정보를 수정할 차례입니다. DNS는 호스팅에 도메인을 연결하기 위해서 주소를 매칭시켜주는 작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는 총 3개의 값만 추가 및 수정하면 됩니다.

타입호스트값/위치
A@클라우드 웨이즈 아이피 입력 ex. 192.111.111.111
A*클라우드 웨이즈 아이피 입력 ex. 192.111.111.111
CNAMEinfo도메인. ex. postincome.co.kr.
CNAMEbiz도메인. ex. postincome.co.kr.

CNAME 값/위치 입력시 도메인주소 입력 후 꼭 . 점표를 입력해야합니다. 그래야 저장 되기 때문이죠. 가비아 DNS 서버 세팅이 끝났습니다.

워드프레스 복사 방법

워드프레스 복사를 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웨이즈가 필요합니다.

복사 방법은 멀티사이트로 운영하는 방법이 있고, 클라우드웨이즈 기준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여러개 두고 관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관리하는 것이 조금 더 수월해서 이 방법으로 설명드립니다. 화면은 클라우드웨이즈 서버 목록입니다.

클라우드웨이즈에서 서버를 월 비용 지불하면서 임대를 해야 워프 설치가 가능합니다.

어플리케이션 변환 방법은 서버를 누르거나, 혹은 어플리케이션을 누르면 화면 전환이 됩니다.

이후 설치한 워드프레스 목록이 나옵니다. 일반적으로 Add Application을 눌러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편이지만 이미 플러그인이나 테마까지 세팅했다면, 바로 복사를 해주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복사본을 미리 세팅해두고 필요할 때 마다 복사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보통 이 방법이 가장 수월하기 때문에, 일일이 테마 설치하고, 플러그인 설치하고, H태그 등 스타일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가장 선호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복사본에는 글이 있으면 안됩니다. 글까지 복사되기 때문에 테마, 플러그인, 기본적인 세팅만 해두고 복사본을 만들어주면 됩니다.

서버 > 어플리케이션 목록 오른쪽 끝 :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은 레이어 메뉴가 나옵니다. 여기서 Clone App/Create Staging 버튼을 누릅니다.

버튼을 눌렀다면 어떤 서버에 설치할 것인지 서버 목록을 보여줍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서버를 선택 후 CONTINUE 누릅니다. Create as Staging는 활성화 하지 않은 기본값으로 둡니다.

이후 도메인을 연결해야합니다. 복사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합니다. 만약,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을 못찾겠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서버 : https://platform.cloudways.com/server

어플리케이션 : https://platform.cloudways.com/apps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접속하면 위와 같은 메뉴 구성들이 있는데, 우리는 DOMAIN MANAGEMENT, SSL MANAGEMENT 이 두메뉴만 필요합니다.

먼저 도메인 매니지먼트(DOMAIN MANAGEMENT) 메뉴를 눌러줍니다.

이후 ADD DOMAIN 버튼을 눌러주면

도메인 입력 화면이 생성됩니다. 이때 우리가 가비아에서 구매했던 도메인을 입력해줍니다.

입력시 http, https 주소는 뺀 도메인을 기재하면 됩니다. 저의 경우 pink29ana.com 이렇게 기재해서 도메인을 추가했습니다.

혹은 도메인 앞에 www. 이렇게 붙이는 경우 메인 도메인 개념보다는 하위 도메인 개념이기 때문에 추천하지는 않으니 참고해주세요.

추가 완료되었다면 도메인 목록 오른쪽 끝에 : 버튼이 있는데, 입력한 도메인을 최상위 사용으로 적용해주면 됩니다.

다음은 SSL Certificate 입니다. 이건 일반적으로 호스팅에서 도메인을 연결하면 https://pink29ana.com/ 이런식으로 표기되는데 인증을 하지 않으면 인터넷 주소창에 자물쇠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이는 SEO 적으로도 불리하기 때문에 반드시 거쳐줘야 하는 단계이기도 합니다. 설정방법은 간단합니다. 해당 메뉴 들어가서 Domain Name 1 영역에 조금전 도메인 매니지먼트 메뉴에서 입력한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SAVE CHANGES 버튼을 누르면 3개월 마다 자동으로 갱신되니 참고해주세요.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