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센스: ‘사이트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오류 해결 방법

구글 애드센스 계정에서 사이트를 추가할 때 사이트 소유권 확인 화면이 표시됩니다. 애드센스 코드 스니펫, Ads.txt 파일, 메타 태그 등을 통해 사이트 소유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아래 그림과 같이 ‘사이트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사이트의 변경사항이 게시되었고 Google 애드센스 크롤러가 이를 액세스할 수 있는지 확인하세요.‘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애드센스 사이트 소유권 확인 오류

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해결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티스토리의 경우 아래의 “티스토리에서 ‘사이트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오류 해결하기” 부분을 참고하세요.

워드프레스: 애드센스 ‘사이트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오류 해결 방법

애드센스 계정에 로그인하여 사이트 » 새 사이트 버튼을 클릭하여 새 사이트의 승인 검토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사이트 추가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사이트 소유권 확인 화면이 표시됩니다.

애드센스 사이트 소유권 확인

사이트 소유권은 3가지 방식 중 하나로 가능합니다.

Ad Inserter와 같은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애드센스 광고를 정교하게 사이트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Ads.txt 스니펫으로 인증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코드 스니펫 또는 메타 태그 방식

애드센스 코드 스니펫 또는 메타 태그 방법을 선택하는 경우 제시된 코드를 사이트의 헤더 섹션(<head></head> 태그 사이)에 붙여넣으면 됩니다.

애드센스 코드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script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client=ca-pub-1234567890123456"
     crossorigin="anonymous"></script>

메타 태그는 다음과 같은 형식의 코드로 되어 있습니다.

<meta name="google-adsense-account" content="ca-pub-1234567890123456">

워드프레스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코드를 <head></head> 태그 사이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1. 워드프레스에서 제공하는 후크(Hook)를 사용하여 애드센스 광고 코드 또는 메타 태그 추가하기
    • wp_header 훅: 헤더 섹션에 코드가 추가됩니다.
  2. 워드프레스 차일드 테마를 만들고 header.php 파일에서 <head></head> 태그 사이트에 직접 코드 추가하기
  3. WPCode나 Insert Headers And Footers와 같은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헤더 섹션에 코드 추가하기
  4. 테마에서 제공하는 훅을 사용하여 헤더 섹션에 코드 추가하기

워드프레스 베스트셀링 테마인 아바다(Avada) 테마를 사용하는 경우 헤더 섹션에 코드나 스크립트를 직접 추가할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됩니다.

아바다 테마 코드 추가하기

GeneratePress 테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글에서 소개하는 방법으로 코드를 헤더 섹션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편한 방식으로 코드를 추가하시기 바랍니다.

애드센스 코드 스니펫에 제시된 코드를 추가하고 자동 광고 기능을 활성화하면 사이트에 자동으로 광고가 표시됩니다. 물론 승인을 받기 전에는 광고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애드센스 코드 스니펫을 차일드 테마의 함수 파일에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추가하면 헤더 섹션에 코드가 삽입됩니다. PUB 코드는 적절히 수정하세요.

function add_google_adsense_script() {
	wp_enqueue_script(
		'google-adsense',
		'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client=ca-pub-1234567890123456',
		array(),
		null,
		true
	);
}
add_action('wp_enqueue_scripts', 'add_google_adsense_script');

비동기 방식으로 스크립트를 추가하려면 다음과 같은 형식의 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add_google_adsense_script() {
	wp_enqueue_script(
		'google-adsense',
		'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client=ca-pub-1234567890123456',
		array(),
		null,
		true
	);
}
add_action('wp_enqueue_scripts', 'add_google_adsense_script');

function add_async_attribute($tag, $handle) {
	if ('google-adsense' !== $handle) {
		return $tag;
	}
	return str_replace(' src', ' async src', $tag);
}
add_filter('script_loader_tag', 'add_async_attribute', 10, 2);

이 작업을 위해서는 FTP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합니다. FTP에 접속하여 차일드 테마 폴더로 이동하여 functions.php 파일을 편집하도록 합니다.

차일드 테마 함수 파일 편집

쉬운 방법으로 WPCode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헤더 섹션에 코드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WPCode 코드 스니펫 헤더 추가

Ads.txt 스니펫 방식

Ads.txt 파일(구글 문서 참조)은 퍼블리셔가 자신의 웹사이트에 추가하는 텍스트 파일로, 해당 사이트의 광고 인벤토리를 판매할 권한이 있는 광고 소스를 목록화한 것입니다. 이 파일의 주요 목적은 공인된 광고 판매자로부터 광고를 받아 표시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으로, 가짜 인벤토리가 광고주에게 판매되는 것을 방지하고 광고 사기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Google 애드센스와 같은 광고 플랫폼은 이 파일을 통해 승인된 판매자를 확인하고, 광고주들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부터 광고 공간을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사이트에 ads.txt 파일을 업로드하지 않으면 “수익 손실 위험 – 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이트에서 발견된 ads.txt 파일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경고가 표시되고 Ads.txt 상태가 “찾을 수 없음” 상태가 됩니다.

애드센스 Ads.txt 수익 손실 위험

워드프레스 사이트에서 Ads.txt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다음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Cloudways)에서 사이트가 호스팅되는 경우에는 다음 글을 참고하여 ads.txt, robots.txt 파일 등에 대하여 캐시 제외 설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위의 세 가지 방법 중 하나로 코드를 추가한 다음, “코드를 삽입했습니다” 체크박스를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사이트가 확인되었습니다” 화면이 표시될 것입니다.

애드센스 사이트 확인 완료

올바르게 코드를 삽입해도 사이트 확인 오류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캐시 플러그인의 캐시를 삭제한 후에 다시 시도하시기 바랍니다.

티스토리에서 ‘사이트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오류 해결하기

티스토리의 경우 Ads.txt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티스토리에서 애드센스 계정과 연동하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티스토리에서 애드센스 계정과 연동하면 승인 여부와 상관 없이 티스토리 자체 광고가 표시됩니다. 티스토리 자체 광고는 개별 게시글의 상단에 표시되어 수익의 상당 부분을 카카오가 가져가게 됩니다.

애드센스 광고를 게재하려면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에서 수익 메뉴를 클릭하고 Google AdSense와 연동하도록 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연동하기 버튼을 누르면 구글 애드센스 계정과 연동되면서 Ads.txt 파일 문제가 해결됩니다.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에서 애드센스 계정과 연동하면 애드센스 사이트에서 티스토리 사이트를 추가하면 자동으로 사이트 소유권이 확인됩니다.

티스토리 기본 주소(example.tistory.com 형식)나 개인 도메인(사용자가 등록한 도메인을 티스토리에 연결)을 이용하든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면 Tistory에서 설정을 완료했습니다 체크란을 선택고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소유권 확인이 완료됩니다.

하지만 개인 도메인을 연결할 때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애드센스 코드 스니펫을 <head></head> 태그 사이에 추가해도 “사이트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티스토리에 개인 도메인을 등록할 때 www 도메인을 입력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티스토리에 개인 도메인을 추가할 때 www가 있는 도메인과 www가 없는 도메인(즉, example.com 형식이나 www.example.com 형식) 중 하나만을 추가할 수 있고, 추가한 도메인에 대하여만 SSL 보안 인증서가 발급됩니다.

애드센스 계정에서 새 사이트를 추가할 때 www를 붙이지 않고 도메인을 추가해야 합니다. www 도메인을 티스토리에 2차 도메인으로 연결한 경우 애드센스는 이를 인식하지 못하면서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 경우…

  1. 티스토리에서 www 도메인을 제거하고 www가 없는 도메인을 추가하거나, 또는
  2. www가 없는 도메인에도 접속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에 www가 없는 도메인과 www가 있는 도메인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음 글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이 경우에는…

  1. www가 있는 도메인 → 티스토리에 개인 도메인으로 연결
  2. www가 없는 도메인 → 클라우드웨이즈에 연결

클라우드웨이즈에 www가 없는 도메인을 연결하고, www가 없는 도메인으로 접속 시 www가 있는 도메인으로 리디렉션디도록 코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여전히 소유권 확인 오류가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index.php 파일을 하나 만들어 사이트의 루트 폴더로 업로드하면 해결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Sample Index Page</title>
	<script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client=ca-pub-1234567890123456"
		crossorigin="anonymous"></script>
</head>
<body>
</body>
</html>

저는 티스토리 자체 광고 도입 이후 티스토리에서 애드센스를 제거했습니다.😥 대신 일부 글을 워드프레스로 옮겨서 챗GPT를 사용하여 수정하여 애드센스 승인을 받아서 활용하는 것을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티스토리 스킨 편집: 헤더 섹션에 태그/스크립트 추가하기

티스토리 스킨의 헤더 섹션에 애드센스 코드 스니펫이나 구글 서치 콘솔 또는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의 사이트 소유 확인 코드를 추가해야 하는 경우 스킨 편집에서 <head></head> 사이트에 코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에 로그인하여 꾸미기 » 스킨 편집 » html 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HTML 탭에서 <head></head> 태그 내의 적절한 곳에 코드를 추가합니다.

</head> 바로 위에 코드들을 추가해도 되지만, 저는…

  1. 메타 태그(예: 구글/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 소유 확인 코드)는 <meta …></meta> 태그들이 추가되어 있는 곳 바로 아래에 추가하고
  2. JS 스크립트(예: 애드센스 광고 코드나 애널리틱스 추적 코드)는 </head> 바로 위에 추가하는 편입니다.

워드크래커는 워드프레스 정보꾸러미 블로그와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는 사람들(네이버 카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